1·2차 협력사까지 지원 확대
[소셜밸류=최연돈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및 주요 협력사들과 손잡고 자동차 산업 공급망의 탄소중립 전환을 본격 추진한다.
![]() |
| ▲자동차산업 공급망 탄소중립 전환을 위한 민관 상생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있다.(왼쪽부터)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안정구 이사장, 산업통상부 박동일 실장, 중소벤처기업부 노용석 차관, 현대차 기아 정준철 부사장, 현대차 기아 협력회 문성준 회장/사진=현대차·기아 제공 |
현대차·기아는 17일 ‘공급망 탄소 감축 상생 프로그램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협력사와의 동반성장을 기반으로 공급망 전체의 저탄소화를 가속화하기 위한 것으로, 기후변화 대응과 산업 경쟁력 제고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현대차·기아는 협력사의 중장기 탄소감축 전략 수립을 지원하고, 설비 교체 및 역량 강화를 위한 ‘탄소저감 상생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 프로그램은 공급망 전반의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민관 공동 지원 모델로, 1차 협력사뿐 아니라 2차·3차 협력사까지 저탄소 전환이 확산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업무협약에 따라 산업통상부와 현대차·기아는 1차 협력사의 탄소감축 설비 교체 비용을 지원한다. 이후 1차 협력사는 지원받은 금액 일부를 2차 협력사에 환원한다.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 2차 협력사의 설비 구매를 돕고, 탄소중립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해 공급망 전반의 역량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차·기아는 2045년까지 생산·운행·폐기에 이르는 차량 전 과정에서 탄소 순배출 ‘제로’를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으며, 공급망 저탄소 전환을 핵심 전략으로 삼고 있다. 지난 4월에는 ‘자동차부품산업 ESG·탄소중립 박람회’를 열어 협력사들의 지속가능경영 역량 강화를 도왔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기업·정부·공공기관이 함께 만든 실질적인 상생 협력 모델”이라며 “지속가능경영 실천과 산업 생태계 전환의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