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연령별 통계 집계 이래 처음 추월
[소셜밸류=황동현 기자] 올해 3분기까지 아파트 매입자 가운데 30대가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 2019년 1월 이후 처음으로 40대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 거래 현황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까지 전국에서 거래된 아파트 매매는 31만6603건으로 그중 30대가 27.1%(8만5701건)를 차지해 연령별 비중 가운데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 |
▲서울 아파트 모습/사진=연합뉴스 |
40대는 25.9%였다. 부동산 거래 비중에서 30대가 40대를 웃도는 것은 한국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공개한 2019년 1월 이후 올해가 처음이다. 지난해의 경우 30대(22.4%)보다 40대(24%)의 비중이 더 컸다.
30대 매입자가 늘어나는 경향은 서울에서 다른 지역으로 점차 확산하는 추세다. 경기도는 2020년까지 40대 비중이 가장 높았으나, 2021년부터 역전돼 30대와 40대의 격차가 지난해 3.4%포인트(30대 27.3%, 40대 23.9%) 났다. 올해는 1∼9월까지의 격차가 4.3%포인트(30대 30.3%, 40대 26.0%)로 더 벌어졌다. 부산과 대구 등은 올해 들어 30대 매입 비중이 지난해보다 커졌고, 대전은 지난해 40대 비중이 30대보다 컸으나 올해는 근소한 차이로 30대가 앞섰다.
30대 주택 구매력은 아파트와 단독·연립 등을 포함한 주택 전체 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다. 올해 1∼9월 전국 주택의 30대 매입 비중은 23.3%로 50대(22.6%)보다 컸고, 40대(23.8%)와의 격차도 0.5%포인트로 지난해(2.9%포인트)보다 줄었다. 서울 주택은 2020년부터 30대 매입 비중이 40대보다 컸다.
전문가들은 생애최초 주택구입자에 대한 대출 혜택과 청년 우선분양, 전세사기 여파 등으로 청년층의 아파트 선호 현상이 확대되며 주택시장에서 30대 영향력은 계속해서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