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이호영 기자. |
[소셜밸류=이호영 기자] 4500명의 대형마트 근로자들이 이해 당사자임을 강조하며 유통산업발전법 의무휴업일 평일 전환 반대 의견서를 서울시와 관할구청에 제출했다. 평일 전환 움직임에 서울시와 25개 지자체엔 나서지 말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최근 의무휴업일을 일요일에서 평일인 월요일로 변경한 대구시, 그리고 이를 예고한 청주시에 이어 노원·송파구 등 서울시까지 변경 조짐을 보이면서다.
무엇보다 마트 근로자들은 근로자들이 이번 의무휴업일 평일 전환 이해당사자가 아니라는 대구시와 청주시에 강하게 반발하는 상황이다.
유통산업발전법 제12조 2항에서는 유통 질서 확립, 중소 유통업과의 상생 발전 등뿐 아니라 근로자 건강권도 영업 시간 제한, 의무 휴업일을 지정하고 명하는 목적으로서 명시하고 있다.
마트산업노동조합 서울지역본부는 7일 서울시청 앞에서 '서울시 일요일 의무 휴업 평일 변경 반대 이해 당사자 의견 전달' 기자 회견을 통해 "홍준표 대구시장뿐 아니라 최근 청주시도 평일 변경을 추진하면서 마트 근로자는 이해 당사자가 아니라고 했다"며 "한국체인스토어협회 등 사용자단체를 이해 당사자로 내세우면서 왜 근로자단체는 부정하는지"라고 반문했다.
이어 "소비자단체, 주민단체는 이해 당사자로 내세우면서 이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근로자들은 왜 부정하느냐"고도 했다.
마트노조 서울본부는 "평일 변경을 반대하는 마트 근로자 4500명의 의견서를 받았다"며 "오늘 회견 이후 각 구청에도 전달할 예정"이라고 했다.
강우철 마트노조 서울본부장은 "대구시처럼 서울시가 관할 지자체를 모아놓고 평일 변경을 추진할 것인지 묻는 마트노조 공문에 대해 서울시는 시 권한이 아니라고 회신 공문을 보내왔다"며 "마트노조는 일요일 평일 변경에 일절 관여하지 않겠다는 것으로 받아들이겠다"고 했다.
이어 "만약 차후 서울시가 말을 바꾼다면 우리는 더 큰 책임을 서울시에 묻겠다"고 덧붙였다.
김진억 민주노총 서울지역본부 본부장은 "월 2회 일요일 휴무는 근로자 건강권, 골목상권 상생을 위해 사회적 공감대로 이룬 사회적 합의"라며 "오세훈 서울시장은 윤석열 대통령처럼 반노동, 반민생 행보를 보이면 국민으로부터 심판 받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이런 저항이 두렵다면 25개 자치구는 나서지 말라"고도 했다.
정재민 정의당 서울시당 위원장도 "월 2회 주말 휴업은 전통시장 상인과 대형마트 근로자에게는 사회적 안전망"이라며 "오로지 대기업 이윤을 위해 이를 다 없애버리겠다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오세훈 서울시장에 경고한다"며 "홍준표 시장 따라 하지 말고 4선 서울시장이라는 격에 맞게, 약자와의 동행이라는 슬로건을 내건 서울시장답게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을 지켜야 한다"고 했다.
이유순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 영등포지회장은 "월 2회 일요일 휴무로 주말 아이들과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행복했다"며 "이런 주말을 왜 평일로 쉬어야 하는지 받아들일 수 없다"고 했다. 이어 "경조사, 가족과 친구 모임 대부분 주말에 잡힌다. 왜 이런 혜택에서 배제돼야 하나"고도 했다.
이런 평일 변경은 지난 1월 정부 대형마트 영업 제한 시간과 의무 휴업일에도 온라인 배송 허용(자정~익일 오전 10시) 추진과 맞물려 불가피한 심야·장시간 근로를 부르고 의무휴업 무력화를 초래하면서 마트 사업자 24시간 영업에 목적이 있다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마트 근로자들은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은 월 2회가 아니라 매주 일요일로 늘려야 하는 상황이라고 보고 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