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회장 “AI 수요 폭발적, 효율적 설루션이 관건”
[소셜밸류=최연돈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AI의 병목 현상을 메모리, 인프라, 설루션으로 함께 해결하겠다”며 인공지능(AI) 시대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 |
| ▲‘SK AI 서밋 2025’에서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사진=SK그룹 제공 |
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Summit 2025’ 개막식에서 최 회장은 ‘AI Now & Next’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진행하며 “AI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SK는 고객과 함께 가장 효율적인 AI 설루션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SK AI 서밋은 반도체, 에너지설루션, 데이터센터, AI 서비스 등 SK 전 계열사의 기술 역량을 한데 모은 국내 최대 규모의 AI 행사다. 지난해 온·오프라인을 합쳐 3만여 명이 참여했으며, 올해는 글로벌 빅테크와 학계, 스타트업이 함께해 규모를 키웠다.
최 회장은 “AI가 산업과 경제, 개인의 삶을 재편하고 있다”며 “AI 인프라 투자는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안정된 수요예측 모델이 부재하다”고 진단했다. 그는 특히 △추론 기능의 본격화 △기업간 거래(B2B) AI 도입 확대 △에이전트(Agent) 확산 △국가 간 소버린 AI(주권형 AI) 경쟁을 AI 수요 폭증의 핵심 요인으로 꼽았다.
이어 “AI 경쟁은 기술(skill)이 아니라 효율의 경쟁”이라며 “SK는 메모리반도체, 인프라, AI 활용이라는 세 축을 통해 효율적 AI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공급 병목이 심화되는 만큼 메모리반도체는 핵심 자산이 됐다”며 “OpenAI의 초대형 AI 프로젝트 ‘스타게이트’에도 월 90만장의 HBM 공급 요청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어 “청주 M15X 팹과 2027년 완공될 용인반도체클러스터를 통해 안정적 공급망을 구축하겠다”고 덧붙였다.
AI 인프라 구축 방향에 대해서는 “SK는 반도체부터 전력, 에너지설루션까지 모두 직접 연결해 가장 효율적인 AI 인프라를 제공할 것”이라며 “국내 최대 AI 컴퓨팅 클러스터 ‘해인’과 AWS 협력 울산 데이터센터, OpenAI와의 서남권 데이터센터가 대표적 사례”라고 설명했다.
또한 “AI의 문제를 푸는 것은 AI”라며, 엔비디아 젠슨 황 CEO와 논의한 ‘AI 팩토리’ 협력을 통해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디지털 트윈 기반 자율형 반도체 공장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SK텔레콤의 ‘에이닷 비즈’처럼 실제 업무에 활용 가능한 AI 툴도 개발해 그룹 내외부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날 행사에는 글로벌 AI 리더들도 참여했다. 아마존 앤디 제시 CEO는 영상 메시지를 통해 “SK는 AWS의 핵심 AI 솔루션 파트너”라며 협력을 높이 평가했고, OpenAI의 샘 올트먼 CEO는 “AI 인프라 확대에는 SK 같은 파트너십이 필수”라고 말했다.
정재헌 SK텔레콤 CEO와 곽노정 SK하이닉스 CEO도 각각 AI 인프라 전략과 컴퓨팅 설루션 혁신을 소개했다. 엔비디아 팀 코스타 총괄은 ‘AI 슈퍼컴퓨팅을 통한 반도체 제조혁신’을, 카카오 정신아 대표는 ‘AI 에이전트의 미래’를 주제로 발표했다.
SK 관계자는 “AI 서밋은 한국형 AI 생태계를 세계와 공유하는 자리”라며 “반도체, 인프라, 모델을 아우르는 협력 생태계로 대한민국이 AI 3대 강국으로 자리매김하도록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