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셜밸류=이호영 기자] 연말 유통가 납품 단가 협상철 유통사와 식품사 간 신경전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올해는 고물가와 맞물려 명분 싸움으로 가시화하는 양상이다.
앞서 쿠팡과 CJ제일제당 마진 논란에 이어 최근 롯데마트도 CJ제일제당을 포함해 풀무원 2개사에 대해 일시적으로 거래(발주)를 중단하며 냉동 상품류 등 단가 협상을 지속하고 있다.
29일 업계 등에 따르면 해마다 연말이면 제조사와 유통사 간 이듬 해 물품 납품 단가 협상을 진행하고 계약을 체결한다.
늘상 있는 협상이지만 거래 중단이 흔하지는 않은데 쿠팡처럼 롯데마트도 발주 중단으로 맞선 상황이다. 이번 단가 조정과 거래 중단은 롯데마트가 롯데슈퍼와 상품 코드를 통합하는 과정에서 마트와 슈퍼 납품 단가가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슈퍼와 같은 조건으로 납품을 제안했지만 CJ제일제당이 이를 거절하면서 불거진 것이다.
이번 납품 단가 조정에 대해 롯데마트와 롯데슈퍼 경우 별도 매장이 아닌 하나의 그로서리 매장으로서 고객에게 각인 시켜야 하는 목표가 있다 보니 통일된 가격 정책 유지가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더군다나 올해 유통 채널 경우 고물가와 맞물려 원부자재가 인상을 거듭해왔던 식품업계 가격 조정 행보에 제동을 걸며 소비자를 위해 고삐 풀린 물가 안정에 나선다는 명분도 있다. 식품업계는 지속적인 원가 인상 속 더 낮추면 손해라며 못 낮춘다는 입장이 있다.
식품업계 일각에서는 "대형마트도 초창기 때 비슷했다. (전통 오프라인 유통사가 아닌 이커머스) 쿠팡 경우 시장을 늘리며 식품 대기업 CJ제일제당과의 기싸움으로 보이는 부분이 있다"며 "뭐든 유통사와 제조사 간 싸움은 오래 가지 않을 것이다. 물건을 팔아야만 하는 제조사들은 어쩔 수 없다"고 보고 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