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챗GPT’ 활용한 직원 역량 강화교육 실시…행정 업무 효율화 기대

라이프 / 소민영 기자 / 2023-02-22 10:46:08
▲챗GPT가 핫이슈로 떠오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소민영 기자] 최근 전 세계적 이슈가 되고 있는 ‘챗GPT’를 활용하기 위한 움직임이 다양하게 일고 있다.


이에 문화체육관광부는 생성형 AI를 문화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직원 역량 강화교육, 아이디어 공모전 등을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챗GPT는 오픈AI사가 개발한 GPT 모델을 활용한 대화 전용 챗봇 인공지능으로 오류를 범하는 한계점이 있으나 대화나 정보 전달에 있어 가장 특화된 AI라 할 수 있다.

먼저 지난 21일 디지털 혁명 시대에 개인의 창의적 아이디어와 디지털 역량의 중요함을 강조해온 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부 최재붕 교수가 ‘챗GPT 시대, 문화 디지털 혁신의 필연성과 방향’을 주제로 온라인 강의를 진행한다.

문체부 직원들은 이번 강의를 통해 챗GPT 등 디지털 기술의 성장과 사회변화에 따른 문체부의 역할과 문화행정의 방향을 고민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이어 오는 27일에 인공지능 기반의 ‘국민비서’ 챗봇 개발업체인 솔트룩스의 이경일 대표를 초빙하여 챗GPT를 활용한 글쓰기, 제목 설정 등 실제 활용 사례를 알아보는 대면 교육도 실시해 직원들의 관심도를 높이고 공감대를 형성한다.

챗GPT의 다양한 기능과 활용 사례를 경험하고 창작의 영역에 도전하는 인공지능이 문화 영역에 미칠 영향과 활용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번 교육은 공지 후 3일 만에 400여 명이 신청할 정도로 직원들도 큰 호응을 보이고 있다.

문체부는 이러한 전문가와의 회의 후속 조치로 GPT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아이디어 공모전도 3월에 개최할 예정이다. AI 시대에 대응하는 정부의 역할과 한국어 AI 언어 모델 발전을 이끌어낼 직원들의 아이디어를 찾을 예정이다.

또한 문화행정 효율화를 위해 누리집 질의에 대한 자동응답, 회의록 요약보고서 작성 등 업무에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사례들도 모색해나갈 계획이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챗GPT로 촉발한 대화형 AI의 발전은 외부적으로는 문화예술 활동의 방식, 이를 둘러싼 권리관계에 변화를 가져오고, 내부적으로는 일하는 방식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챗GPT 등 생성형 AI의 발전이 가져올 수 있는 문제들에 한발 먼저 대응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만들어내는 동시에, 행정 업무도 효율화할 수 있어야 한다. 변화의 흐름을 재빠르게 낚아챌 수 있는 직원들의 역량 강화에 힘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