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희건설 본사 모습/사진=연합뉴스 제공/이덕형기자 |
[소셜밸류=이덕형 기자] 국내 중견 건설사 다수가 언론사를 계열사로 두고 홍보·대관(對官)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서희건설은 동급 규모 업체 중 유일하게 언론사를 소유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안팎에서는 이러한 구조가 서희건설의 대관 능력과 여론 영향력 부족으로 이어진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호반건설은 서울신문과 광주방송, 중흥건설은 헤럴드경제와 코리아헤럴드, 태영건설은 SBS를 계열사로 두고 있다. 이 외에도 부영주택은 TV조선과 인천일보, SG건설은 G1 강원민방, 삼라건설은 울산방송, 두진건설은 청주방송, 부원건설은 브릿지경제, 동양종합건설은 영남일보, 남양건설은 광주매일을 보유하고 있다.
이처럼 많은 건설사들이 중앙지나 지역 언론 지분을 확보하며 사업 환경에 유리한 여론을 조성하고, 정책·인허가 과정에서 우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반면 서희건설은 지난 2019년 인수한 내외경제TV를 수익성이 없다는 판단에 따라 매각 했다.업계 관계자들은 “언론사 보유 여부가 곧바로 대관 성공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여론 형성과 정보 수집, 정책 대응에서 ‘플랫폼’ 역할을 하는 것은 분명하다”며 “서희건설은 이 부분에서 구조적으로 불리한 위치”라고 지적했다.
특히 최근 정치권과의 연결 고리가 도마에 오른 ‘나토 목걸이’ 의혹 등 민감한 이슈에서 서희건설이 적극적으로 대응하거나 우호적 프레임을 형성하지 못한 배경에도, 이러한 언론 부재가 간접적으로 작용했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대관 능력은 인맥, 자본력, 여론 영향력 3박자가 맞아야 하는데, 서희건설은 마지막 요소에서 약점을 안고 있다”며 “사업 다각화와 이미지 제고를 위해서라도 미디어 전략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