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PS 갈등의 핵심은 ‘분배의 정의’(2부)

전자·IT / 최성호 기자 / 2025-07-29 08:50:16
▲SK하이닉스 6세대 고대역폭 메모리 HBM4/사진=SK하이닉스제공/최성호기자

 

[소셜밸류=최성호 기자] SK하이닉스의 임금협상이 결국 결렬되며, ‘성과급 기준’이 노사 갈등의 핵심 변수로 부상했다. 특히, 전년도 영업이익의 10%를 전액 성과급으로 지급해야 한다는 노동조합 측 주장과, 기본급의 최대 1,700% 수준 상한선을 제시한 사측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하면서 갈등의 골이 깊어졌다.


“성과에 정당한 보상” vs “지속가능한 체계”

SK하이닉스는 2021년부터 영업이익의 10%를 성과급 재원으로 삼아 개인별 PS(초과이익분배금)를 지급해 왔다. 실적 연동 성과주의 기조를 도입한 셈이다.

올해 초, 사상 최대 실적인 23조4,673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하이닉스는 이에 따라 기본급의 1,500% 수준 PS와 자사주 30주를 임직원에게 지급했다.

하지만 노조는 이를 ‘성과에 비해 지나치게 낮은 분배’로 평가하고 있다. "성과는 전례 없는 수준인데, 성과급은 기준에 묶여 있다"는 비판이다. 

 

특히 일부 임직원들 사이에서는 "삼성전자 DS부문보다도 낮은 수준"이라는 불만도 공공연히 제기됐다.

반면 사측은 기본급의 1,700%까지 상한선을 상향하고, 남은 10% 재원 중 절반을 재적립해 구성원들에게 추후 재분배하는 방식으로 보완안을 제시했다. 

 

즉, "성과급은 한 번에 모두 쏟아붓는 방식이 아니라, 지속가능성과 예측가능성을 고려한 체계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사측 관계자는 "연초 약속한 성과급 제도 개편은 장기적 관점에서 구성원의 보상 안정성을 확보하려는 것"이라며 "매년 반복되는 성과급 갈등을 구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시도"라고 밝혔다.

경쟁사와 비교…삼성전자와의 보상 차이도 갈등 요인

노조 측이 사측 안을 수용하지 못하는 배경에는 삼성전자와의 성과급 차이도 있다. 삼성전자는 부서별 실적에 따라 PS와 OPI(초과성과인센티브)를 별도로 지급하며, 일부 사업부는 기본급의 2,000% 이상을 수령하기도 한다.

특히 2023년 삼성전자 DS부문이 실적 부진에도 기본급의 1,200% 이상 성과급을 지급한 점이 하이닉스 내부에서 비교 대상으로 지목됐다.

노조 관계자는 "SK하이닉스는 세계 2위 메모리 반도체 기업임에도 업계 보상 기준에 못 미친다"며 "성과의 과실을 임직원이 함께 나누자는 게 정당한 요구"라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미국 마이크론은 분기마다 보너스 체계를 운영하고 있으며, 기업 실적 외에도 주식 보상(BRSU)과 스톡옵션 등 다양한 비현금성 인센티브를 병행하고 있다.

“10% 전액 환원”이냐 “장기적 적립”이냐

노사 간 충돌은 결국 ‘영업이익 10%’의 사용 방식에 대한 철학 차이에서 비롯된다.
 

노조의 입장은  “성과는 그 해에 모두 공유해야 하며, 영업이익의 10%는 회사가 아닌 구성원의 몫”이라고 주장하며 , 사측의 경우 “10%는 원칙이지만, 상한선 설정과 초과분은 미래투자와 안정적 운영을 위한 적립 필요”하다 고 말한다.

실제로 사측은 8차 교섭에서 PS 상한 1,700%를 제시한 동시에, 남은 재원 중 50%는 구성원에게 재분배, 50%는 미래 투자에 쓰겠다는 구조적 보완책을 언급한 바 있다. 

 

하지만 10차 교섭에서도 노조는 “10% 전액 지급 외에는 의미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결렬을 선언했다.

전문가 “PS 제도, 명확한 기준 정립 시급”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단순한 수치 싸움이 아니라, ‘성과 보상’이라는 제도의 정의와 철학이 충돌한 결과라고 본다. 특히, 고성과 시대의 성과급 분배 기준이 투명하고 납득 가능해야 매년 반복되는 갈등을 줄일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인사노무 전문가는 “성과급은 신뢰와 투명성이 전제되지 않으면 항상 분쟁 소지가 있다”며 “사측은 예측 가능하고 일관된 기준을 제시하고, 노조도 산업 전체 흐름과 회사 재무구조를 고려한 협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