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증시, 나스닥-다우-S&P-반도체 등 4대 지수 일제히 52주 최저가로 폭락

뉴스 / 김완묵 기자 / 2022-06-17 06:14:16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453.06포인트(4.08%) 떨어진 10,646.10으로 마감
다우지수는 2021년 1월 이후 처음으로 주요 지지선인 3만선 아래로 떨어져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170.69포인트(6.24%) 폭락한 2,566 기록

▲ 미국 증시가 연준의 고강도 긴축으로 경기 침체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에 4대 지수가 일제히 52주 최저가를 기록하며 급락 마감했다. 사진은  미국 연방준비제도 청사/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가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고강도 긴축이 계속되며 경기가 침체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큰 폭으로 하락 마감했다.

 

특히 다우지수는 2021년 1월 이후 처음으로 주요 지지선인 3만선 아래로 떨어졌으며 나스닥, S&P 500,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등 4대 지수가 일제히 52주 최저가를 기록했다.

 

16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41.46포인트(2.42%) 하락한 29,927.07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23.22포인트(3.25%) 밀린 3,666.77을 기록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453.06포인트(4.08%) 떨어진 10,646.10으로 장을 마감했다. 

 

또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170.69포인트(6.24%) 폭락한 2,566.86를 나타내며 장을 종료했다.

 

개별 종목으로는 테슬라가 8.5% 폭락한 것을 비롯해 애플 3.9%, 아마존닷컴 3.7%, 엔비디아 5.6%, AMD 8.1%, 마이크로소프트 2.7%, 메타 5.0%, 구글의 알파벳 3.4%, 넷플릭스가 3.7% 급락하며 마감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전날 연준은 0.75%포인트라는 큰 폭의 금리 인상으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겠다는 목표를 명확히 드러냈다. 연준의 0.75%포인트 금리 인상은 1994년 만에 처음이다. 이날 미국 증시는 연준의 고강도 긴축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에 압도된 모습을 보였다.

 

파월 의장은 7월 회의에서도 0.50%포인트나 0.75%포인트의 금리 인상을 예상했다. 이는 단기적으로 연준의 고강도 긴축이 지속될 수 있다는 의미다.

 

연준의 금리 인상 이후 잉글랜드 은행과 스위스중앙은행도 곧바로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각국의 긴축 행렬이 지속되면서 글로벌 유동성 축소로 경기가 둔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의 경제 지표는 주택시장이 둔화하고 제조업 경기가 악화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올해 5월 미국의 신규 주택 착공은 13개월래 최저 수준으로 하락했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5월 신규주택 착공실적은 전월 대비 14.4% 줄어든 연율 154만9천 채(계절 조정치)를 기록해 2021년 4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날 수치는 전문가들의 예상치인 2.6% 줄어든 168만 채도 밑돌았다. 5월 신규주택 착공 허가 건수도 전월보다 7% 줄어든 169만5천 채(계절 조정치)를 기록해 2.1% 줄어들 것이라는 시장의 예상보다 더 많이 줄었다. 30년 만기 고정 주택담보 대출 금리는 평균 5.78%로 2008년 이후 13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6월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연은) 관할 지역 제조업 활동은 위축세로 돌아섰다. 필라델피아 연은에 따르면 6월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 활동 지수는 -3.3으로 전월의 2.6에서 하락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인 4.8도 밑돌았다. 지수는 제로(0)를 기준으로 확장과 위축을 가늠하며, 지수가 마이너스로 떨어졌다는 것은 제조업 경기가 위축세로 돌아섰음을 시사한다.

 

주간 실업지표는 전주보다 하락했으나 전주의 1월 이후 최고치 수준에서 크게 줄지 않았으며 시장의 예상보다 많았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11일로 끝난 한 주간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주보다 3천 명 감소한 22만9천 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수정된 직전 주의 수치인 23만2천 명 대비 감소한 수준이다. 주간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 22만 명 증가보다 많았다.

 

연준의 고강도 긴축 소식에다 이미 경제 지표가 둔화하고 있다는 신호가 나오면서 항공주들이 크게 하락했다. 아메리칸항공이 8% 이상 하락했고, 사우스웨스트항공이 6% 하락했다. 델타항공과 유나이티드항공의 주가도 7% 이상 하락했다.

 

S&P500 지수 내 11개 업종이 모두 하락한 가운데, 에너지 관련주가 5% 이상 떨어졌고, 임의소비재와 기술 관련주가 4% 이상 하락해 약세를 주도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경기를 침체로 몰고 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액티브 트레이드의 피에르 베이렛 기술적 분석가는 마켓워치에 "75bp의 금리 인상 결정은 신용과 주식시장의 상승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그러나 오늘 매도세는 연준이 물가 상승 압력과 싸우기 위해 경기침체나 실업률 상승 등 경제 환경이 악화하는 것을 기꺼이 용인할 것이라는 데 대한 우려를 반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3.33포인트(11.24%) 오른 32.95를 기록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