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00억달러이던 오라클의 시총도 단번에 9222억달러까지 증가
3대 지수는 CPI에 대한 경계감으로 미지근한 모습
![]() |
| ▲미국 뉴욕증시는 10일(현지시간) 다음날 발표하는 CPI에 대한 경계감으로 미지근한 상승세를 보였다. 사진은 뉴욕증시 입회장에서 일하는 트레이더들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가 롤러코스터를 탔지만 오라클 주가의 폭등 속에 S&P500지수가 강세를 보이고, 엔비디아와 브로드컴의 주가가 급등하면서 반도체지수가 1달여 만에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마감했다. 이날 증시는 장 초반엔 다우를 제외한 나스닥과 S&P500, 반도체지수가 모두 사상 최고치를 찍었지만 이후 차익매물이 급증하며 반도체지수만 살아남았다. 특히 나스닥지수는 장중 사상 처음으로 2만2000선을 돌파하기도 했다. 다만 현지시간 11일 발표하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대한 경계감으로 미지근한 상승세를 보였다는 해석이다.
1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20.42포인트(0.48%) 내린 45,490.92를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 대비 19.43포인트(0.30%) 오른 6,532.04를,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장보다 6.57포인트(0.03%) 상승한 21,886.06을 가리키며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138.27포인트(2.38%) 급등한 5,958.09를 가리키며 장을 마감했다.
주요 종목으로는 엔비디아가 3.8% 급등한 것을 비롯해 마이크로소프트 0.3%, 브로드컴 9.7%, 테슬라 0.2%, 팔란티어 2.7%, AMD 2.3%, ARM이 9.4% 상승하며 마감했다. 이에 비해 애플은 3.2%, 아마존닷컴 3.3%, 메타 1.7%, 구글의 알파벳 0.1%, 넷플릭스가 1.2% 하락하며 장을 마쳤다.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일제히 하락하다 장 후반 혼조세로 돌아섰다. 현지시간 오후 3시 5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30%포인트(3.0bp) 하락한 4.043%를 나타내고 3년물이 전날보다 0.002%포인트(0.2bp) 오른 3.493%를 가리키고 있다.
이에 앞서 현지시간 오후 1시 58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00포인트(0.44%) 내린 45,510을 기록하고 있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 대비 17포인트(0.26%) 오른 6,529를,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장보다 3포인트(0.01%) 하락한 21,876을 가리키고 있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121포인트(2.08%) 급등한 5,940을 가리키고 있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장 초반 증시를 들어 올린 것은 오라클의 놀라운 실적이었다. 오라클이 수주 잔고(잔여 이행 의무)가 4550억달러에 이르며 전년 동기 대비 359% 폭증했다고 발표하자 시장은 충격을 받았다. 이미 월가는 오라클의 수주 잔고를 10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실제치는 그것마저 훨씬 뛰어넘었기 때문이다.
오라클은 오는 2030 회계연도에 클라우드 인프라 수익이 1천440억달러일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는 2025 회계연도의 103억달러에서 10배 급증한 수치다.
2분기 오라클의 실적 자체는 예상치를 밑돌았으나 증시는 아랑곳하지 않았다. 메가톤급 실적 전망에 매수세가 몰리면서 주가는 36% 폭등했다. 1992년 이후 하루 최대 상승폭이다. 장중 최대 상승폭은 43.15%였다.
이미 6천800억달러 규모인 오라클의 시총도 단번에 9천222억달러까지 불어났고 래리 엘리슨 오라클 공동 창업자는 하루 만에 순자산 가치를 1천억달러 이상 늘리며 세계 최고 부자에 등극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오라클이 크고 빠르게 성장하는 AI 인프라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음이 명백하다"며 "클라우드 소프트웨어·하드웨어에서 오픈AI와 xAI, 메타, 엔비디아, AMD와 같은 초대형 AI 기업들을 끌어들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8월 PPI가 예상치를 밑돌며 깜짝 하락한 점도 증시에 활기를 더했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8월 PPI는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월 대비 0.1% 떨어졌다. 시장 전망치 0.3% 상승과 반대 방향이다.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PI도 0.1% 하락하며 예상치 0.3% 상승을 크게 밑돌았다. 전년 동기 대비로도 PPI는 2.6%, 근원 PPI는 2.8% 각각 올라 모두 전망치를 크게 하회했다.
하지만 온기가 시장 전반으로 퍼지지 못하면서 증시는 활기를 잃어갔다. 기술 업종에선 종목별로 투심이 엇갈린 것이 컸다. 오라클로 AI 인프라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엔비디아는 3.83% 뛰었고 브로드컴도 9.77% 급등했다. AI와 반도체 관련주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2.38% 급등하며 이같은 기대감을 반겼다. TSMC와 AMD는 3% 안팎으로 올랐고 Arm은 9.47% 급등했다.
반면 애플은 전날 아이폰17을 발표했으나 주가는 3.23% 밀렸다. AI 산업에서 뒤처지는 모습이 거듭 확인되자 투심이 냉각된 것이다. 오라클이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에서 보폭을 넓히면서 경쟁업체인 아마존도 3.32% 밀렸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12월까지 기준금리가 75bp 인하될 확률은 65.8%로 반영되고 있다. 전날 마감 무렵의 64.6%보다 소폭 올랐다. 생산자 물가가 하락했으나 일부 생산자가 고율 관세를 흡수하며 마진 하락을 감내한 점이 부각되면서 경계심을 자극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