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미국증시, 나스닥-S&P-다우 신고가 랠리 속 빅테크들 주가는 대체로 하락

기획·연재 / 김완묵 기자 / 2025-09-23 06:05:10
엔비디아를 비롯한 반도체주와 애플의 주가 급등에 힘입어
3대 주요 지수 및 반도체지수가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
12월까지 기준금리가 50bp 인하될 확률은 73.6%로 낮아져
▲미국 뉴욕증시는 22일(현지시간) 3대 지수가 신고가 랠리를 펼쳤지만 빅테크들 주가는 대체로 약세를 보여 대조를 이뤘다. 사진은 뉴욕증시 입회장에서 일하는 트레이더들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가 엔비디아를 비롯한 반도체주와 애플의 주가 급등에 힘입어 주요 지수들이 상승랠리를 이어갔다. 이에 3대 주요 지수 및 반도체지수가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특히 S&P500과 나스닥, 반도체 지수는 마감가로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만 다른 빅테크들 주가는 대채적으로 큰 폭의 하락세를 보이며 조정국면을 나타내기도 했다. 이날 빅테크주들의 하락은 미국 연방정부의 일시적 업무정지(셧다운) 우려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22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6.27포인트(0.14%) 오른 46,381.54를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 대비 29.39포인트(0.44%) 상승한 6,693.75를,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157.50포인트(0.70%) 오른 22,788.98을 가리키며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97.87(1.57%) 상승한 6,330.12를 마크하며 마쳤다. 

 

주요 종목으로는 엔비디아가 3.9% 상승한 것을 비롯해 애플 4.3%, 테슬라 1.9%, 넷플릭스 0.03%, AMD 1.5%, ARM이 1.1% 상승하며 마감했다. 이에 비해 마이크로소프트는 0.6%, 아마존닷컴 1.6%, 메타 1.6%, 구글의 알파벳 0.8%, 브로드컴 1.6%, 팔란티어가 1.6% 하락하며 마감했다.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오후 들어 일제히 상승세로 돌아섰다. 현지시간 오후 3시 5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11%포인트(1.1bp) 상승한 4.151%를 나타내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23%포인트(2.3bp) 상승한 3.605%를 가리키고 있다.

 

이에 앞서 현지시간 오후 1시 45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01포인트(0.22%) 오른 46,416을 기록하고 있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 대비 29포인트(0.43%) 상승한 6,693을,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143포인트(0.63%) 오른 22,774를 가리키고 있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104(1.67%) 급등한 6,336을 마크하고 있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엔비디아가 오픈AI에 대규모 자금을 투자하기로 하면서 인공지능(AI) 테마가 활기를 보였고, 애플 또한 아이폰17이 호평을 끌어냈다는 평가에 기술주로 매수세가 집중됐다.

 

엔비디아가 오픈AI에 1천억달러를 투자하며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기로 하고 의향서(LOI)를 체결했다고 두 회사가 이날 발표했다. 오픈AI가 엔비디아의 AI칩을 기반으로 10기가와트(GW)의 전력이 필요한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데 따른 협력이다. 오픈AI가 구축하는 10GW 규모의 데이터센터는 엔비디아의 그래픽칩(GPU)이 400만~500만개가량이 필요하다. 엔비디아는 이번 결정으로 오픈AI의 주요 주주가 될 전망이다.

 

CFRA리서치의 샘 스토발 최고투자전략가는 "이번 계약은 AI 거래가 내년 이후에도 주당순이익(EPS)과 주가 상승을 견인할 것임을 시사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오픈AI와 엔비디아의 초대형 투자 계약에 오라클도 덩달아 웃었다. AI 산업에서 인프라 투자가 향후 몇 년간 지속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오라클도 반사이익을 누린 것이다. 오라클 주가는 6.31% 뛰었다.

 

한편에선 애플이 이날 주가에 동력을 불어넣었다. 애플의 신제품 아이폰17은 당초 디자인 면에서 혹평받았으나 막상 출시되니 수요가 강했다. 애플의 주가는 4.31% 뛰었다.

 

JP모건에 따르면 아이폰17 기본 모델의 대기 시간은 21일로 1년 전보다 전반적으로 길어졌다. T모바일의 마이크 시버트 최고경영자(CEO)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주말 아이폰 판매 실적이 역대 최대였다고 밝혔다.

 

스토발은 "향후 3개월 안에 큰일이 일어나지 않는 한 시장은 연말까지 가격을 더 높이 올리려고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연방 정부의 셧다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증시는 과거처럼 아직은 큰 비중을 두지 않고 있다.

 

미국 비만치료제 개발사 멧세라는 미국 대형 제약사 화이자에 인수된다는 소식에 주가가 60% 폭등했다.

 

이날 주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인사가 잇달아 공개 발언에 나선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측근인 스티븐 마이런 연준 이사를 제외하면 매파적 색채가 강했다.

 

래피얼 보스틱 미국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올해 남은 기간 연준의 추가 금리인하는 없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알베르토 무살렘 미국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도 "추가 완화 여력은 제한적이라고 생각하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베스 해맥 미국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 또한 "우리는 정책 제약을 제거하는 데 있어 매우 신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그러한 제약을 해제하면 상황이 다시 과열될 수 있다는 점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현재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12월까지 기준금리가 50bp 인하될 확률을 73.6%로 반영했다. 직전 거래일 마감 무렵의 78.6%에서 내려왔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