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들어오면서
주가지수는 이틀 연속 탄력을 이어가
![]() |
| ▲미국 뉴욕증시는 29일(현지시간) AI주를 중심으로 이틀 연속 상승 탄력을 이어갔으나 그 오름폭은 둔화됐다. 사진은 뉴욕증시 입회장에서 일하는 트레이더들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는 3대 지수 및 반도체 지수가 고르게 상승하며 장을 마쳤다. 장 중반까지는 단연 반도체와 기술주 중심의 장세였지만, 후반에는 우량주에 매수세가 들어오며 다우지수가 상승 전환한 반면, 기술주는 차익매물이 출현하면서 상승폭이 줄어들며 마감했다. 이날 미국 연방 정부의 일시 업무 정지(셧다운) 우려는 증시를 좌우할 변수가 되지 못했다.
29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6.78포인트(0.15%) 상승한 46,316.07을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 대비 17.51포인트(0.26%) 오른 6,661.21을,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107.09포인트(0.48%) 상승한 22,591.15를 가리키며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10.06포인트(0.16%) 상승한 6,315.11을 나타내며 장을 마쳤다.
주요 종목으로는 엔비디아가 2.0% 상승한 것을 비롯해 마이크로소프트 0.6%, 아마존닷컴 1.0%, 테슬라 0.6%, 팔란티어 0.7%, AMD 1.1%, ARM이 0.06% 상승하며 마감했다. 이에 비해 애플은 0.4%, 메타 0.05%, 구글의 알파벳 1.0%, 브로드컴 1.9%, 넷플릭스가 0.3% 하락하며 장을 마감했다.
미국 국채금리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현지시간 오후 3시 5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44%포인트(4.4bp) 하락한 4.143%를 가리키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14%포인트(1.4bp) 내린 3.633%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앞서 현지시간 오후 1시 05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6포인트(0.12%) 내린 46,191을 기록하고 있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 대비 9포인트(0.14%) 오른 6,653을,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92포인트(0.41%) 상승한 22,576을 가리키고 있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34포인트(0.54%) 상승한 6,339를 나타내고 있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국 뉴욕증시는 기술주를 중심으로 낙관론이 확산됐다. 이에 3대 주가지수가 2거래일 연속 강세로 마감했다. 미국 연방 정부의 셧다운(일시 업무 정지) 가능성이 남아 있는 가운데 기술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들어오면서 주가지수는 탄력을 이어 갔다는 분석이다.
지난주 엔비디아와 오픈AI 간 1천억달러 규모 계약에 '순환출자' 의구심이 제기되면서 기술주 투자 심리가 약해진 바 있다. 오라클이 180억달러 규모로 회사채를 발행한 점도 인공지능(AI) 설비 투자가 재무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계감을 자극했다.
하지만 엔비디아는 이날 2% 상승하며 AI 테마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을 보여줬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도 1% 안팎의 상승세를 기록했다.
오픈AI가 엣시 및 쇼피파이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업체와 계약을 맺고 챗GPT에서 구매한 뒤 결제할 수 있는 기능을 출시한 점도 AI 테마를 부각시켰다. 오픈AI는 유료 서비스 외에 뚜렷한 수익원이 없는데 전자상거래 결제 기능이 이를 보완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바클레이즈의 베누 크리슈나 미국 주식 전략 총괄은 "AI 설비투자는 둔화할 기미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며 "다른 산업들도 AI 인프라 투자 급증의 수혜를 입고 있다"고 주장했다. 다만 기술주에 대한 경계감도 여전한 듯 기술주는 오후로 접어들며 상승분을 토해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장중 1.6% 넘게 오르기도 했으나 0.16% 상승으로 마감했다.
미국 대형 게임 회사 일렉트로닉아츠(EA)가 사우디아라비아의 국부펀드가 주도하는 컨소시엄으로 550억달러에 매각된다는 소식은 시장이 확인한 또 다른 낙관론이었다. 대형 인수합병은 미국 경제에 활기가 돈다는 주요 신호다.
미국 연방 정부의 셧다운이 임박한 가운데 연방 의회 상원은 연방 정부의 2025회계연도 마지막 날인 30일 임시 예산안(단기 지출 법안)을 재표결에 부칠 예정이다. 임시 예산안은 7주간 효력을 발휘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주요 의회 수뇌부와 이날 오후부터 셧다운을 피하기 위해 논의 중이다. 역사적으로 셧다운은 증시에 큰 충격을 주지는 않았다. 다만 셧다운으로 주요 경기지표의 발표가 미뤄지면 증시는 불확실성으로 방향을 잡기 어려울 수 있다. 실제로 미국 노동부는 셧다운이 발생하면 오는 3일로 예정된 9월 비농업 고용 보고서를 포함해 경기 지표의 발표를 미루겠다고 이날 전했다.
업종별로는 에너지가 1.91% 급락했고 통신서비스도 하락했다. 나머지 업종은 모두 올랐다. 미국과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종전 방안에 동의하면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3.45% 폭락했다. 이에 셰브런과 엑손모빌은 주가가 2% 넘게 하락했다.
EA의 주가는 4.5% 뛰었다. 사우디 국부펀드 컨소시엄은 EA를 인수 후 비상장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소액 주주들로부터 지분을 주당 210달러에 매입하기로 했다. 알리바바는 아시아 시간대 홍콩시장에서 강세를 보인 데 힘입어 미국 시장에서도 4%대 상승세를 보였다. 최근 알리바바는 AI 관련 투자를 대폭 확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12월까지 기준금리가 50bp 인하될 확률을 68.2%로 반영했다. 직전 거래일 마감 무렵엔 65.4%였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