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미국 뉴욕증시, 물가지표 급등에 국채금리도 오르자 3대 지수 급락 마감

뉴스 / 김완묵 기자 / 2022-10-01 05:21:34

▲ 미국 뉴욕증시가 30일(현지시간) 결국 급락으로 마감을 했다. 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가 오후 들어 마이너스로 일제히 전환하더니 결국 장 막판 급락세를 나타내며 마감을 했다.  오전장에는 갈피를 못 잡고 혼조세를 나타낸 바 있는데, 오후장 들어 확실하게 마이너스로 방향을 잡은 셈이다. 이는 물가지표가 여전히 급하게 오르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오전에 내림세를 보이던 국채금리마저 오후 들어 강하게 플러스로 전환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3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00포인트(1.71%) 하락해 28,725로 마감을 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54포인트(1.51%) 하락한 3,585로 장을 종료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61포인트(1.51%) 급락한 10.575로 장을 마쳤으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40포인트(1.73%) 떨어진 2,306으로 장을 마감했다.

 

미국 국채금리는 오후 들어 일제히 상승세로 전환했다. 10년물이 전날보다 0.072%포인트(7.2bp) 내린 3.819%를 나타내고 2년물이 전낣도다 0.08%포인트(8bp) 오른 4.25%를 기록했다. 

 

이에 앞서 12시 21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65포인트(0.57%) 떨어진 29,060을 가리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포인트(0.13%) 하락한 3,635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에 비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6포인트(0.25%) 상승한 10,763을 기록하고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2포인트(0.09%) 내린 2,345를 마크하고 있었다.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오전장에 하락세를 보이다 오후장 들어 서서히 오르는 분위기다. 현지시간 30일 12시 19분 현재 10년물이 전일보다 0.001%포인트(0.1bp) 상승한 3.748%를 나타내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21%포인트(2.1bp) 내린 4.149%를 기록하고 있었다. 

 

앞서 오전 10시 17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52.06포인트(0.52%) 하락한 29,073.55를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9.74포인트(0.27%) 밀린 3,630.73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4.92포인트(0.05%) 오른 10,742.42를 나타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미국 뉴욕증시 투자자들은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 지표와 연준 당국자 발언, 국채금리 움직임 등을 주시했다. 특히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물가가 이전보다 높아져 물가 상승 압력이 여전함을 시사했다.

 

미 상무부 자료에 따르면 8월 근원 PCE 가격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9% 올랐다. 이는 전월치와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인 4.7% 상승을 모두 웃돈다. 근원 PCE 가격 지수는 전월 대비로는 0.6% 올라 전달 기록한 상승률 제로(0.0%)에서 크게 반등했다. WSJ 예상치인 0.5% 상승도 웃돈다.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을 포함한 8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 지수는 지난해보다 6.2% 상승해 전달의 6.4% 상승에서 둔화했으나 팩트셋이 집계한 시장의 예상치인 6%를 웃돌았다. 전월 대비로는 0.3% 올라 전달 기록한 0.1% 하락에서 상승세로 돌아섰고, 팩트셋이 집계한 시장의 예상치인 0.1% 상승도 웃돌았다.

 

국채금리는 오전장에서 다소 안정되는 모습을 보였다. 장 초반 10년물 국채금리는 전장보다 8bp가량 하락한 3.70%에서 거래됐고. 2년물 국채금리도 6bp가량 떨어진 4.15%를 나타냈다. 하지만 이후 국채금리는 상승세를 탔다.

 

레이얼 브레이너드 연준 부의장은 이날 한 콘퍼런스에서 "인플레이션이 목표치로 돌아가고 있다는 확신을 가지려면 통화정책이 한동안 긴축적이어야 한다"며 "이런 이유로 우리는 조기 정책 철회를 피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한동안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갈 것을 시사한 것이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