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미국증시, 트럼프 관세전쟁 망령 되살아나며 나스닥-다우-S&P-반도체 곤두박질

기획·연재 / 김완묵 기자 / 2025-07-08 05:55:08
트럼프가 한국과 일본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여파로 미국 증시에 상장된
한국-일본 기업들의 주식도 타격, SK텔레콤의 주가는 7% 이상 떨어졌고
LG디스플레이도 6% 넘게 하락, 도요타-혼다는 4% 안팎 밀려
▲미국 뉴욕증시는 7일(현지시간) 관세 전쟁의 망령이 살아나며 큰 폭 하락했다. 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의 트레이더들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는 트럼프 행정부가 고율의 상호관세 부과를 압박하며 다시 한번 긴장국면을 조성하자 일제히 하락세를 나타냈다. 게다가 일론 머스크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갈등이 증폭되면서 비교적 큰 폭의 조정을 받았다. 

 

7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22.17포인트(0.94%) 하락한 44,406.36을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S&P500지수는 전장 대비 49.37포인트(0.79%) 내린 6,229.98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88.59포인트(0.92%) 하락한 20,412.52를 가리키며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105.92포인트(1.88%) 급락한 5,541.20을 마크하며 마감했다. 

 

주요 종목으로는 엔비디아가 0.6% 하락한 것을 비롯해 마이크로소프트 0.2%, 애플 1.6%, 메타 0.09%, 브로드컴 0.3%, 구글의 알파벳 1.5%, 테슬라 6.7%, 넷플릭스 0.5%, AMD 2.2%, ARM이 5.2% 하락하며 마감했다. 다만 아마존닷컴은 0.03%, 팔란티어가 3.5% 상승하며 마감했다.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일제히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현지시간 오후 3시 5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45%포인트(4.5bp) 오른 4.385%를 가리키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15%포인트(1.5bp) 상승한 3.897%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앞서 현지시간 12시 40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73포인트(1.06%) 급락한 44,355를 기록하고 있었다. S&P500지수는 전장 대비 49포인트(0.77%) 내린 6,230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66포인트(0.81%) 하락한 20,434를 가리키고 있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79포인트(1.40%) 하락한 5,568을 마크하고 있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과 일본 등 주요 교역국을 대상으로 관세 서한을 발송하면서 위험 회피 심리가 시장에 확산됐다. 트럼프는 상호관세 유예 기한을 8월 1일까지 연기하며 협상의 여지를 남겨뒀으나 관세 불확실성이 되살아나면서 투심도 흔들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과 일본을 포함한 7개국에 오는 8월 1일부터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서한을 발송했다. 이날 트럼프는 한국과 일본을 비롯해 남아프리카공화국, 라오스, 미얀마, 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의 정상을 수신인으로 하는 서한을 자신의 트루스소셜 계정에 게재했다.

 

한국과 일본은 25%의 관세가 부과된다고 트럼프는 밝혔다. 미국 백악관은 한국과 일본 외에 12개 국가도 관세 서한을 받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 같은 소식에 관세 불확실성이 다시 시장에 도지면서 위험 회피 심리가 강해졌다. 최근 3주 연속 가파르게 상승한 이후라 차익 실현 욕구도 겹친 것으로 풀이된다.

 

백악관은 동시에 트럼프가 이날 상호관세 유예 기한을 8월 1일로 연장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이라고도 밝혔다. 사실상 3주간의 협상 기간을 더 두겠다는 의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관세 불확실성이 다시 살아난 점에 더 주목하며 주식에 매도 우위를 취한 것으로 해석된다. 아젠트캐피털매니지먼트의 제드 엘러브룩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시장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는 낙관적인 상황에서 관세 논의는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가 관세를 논의할수록 시장은 덜 행복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가 신흥경제국 연합체인 브릭스(BRICS) 국가들의 반미 정책에 동조하는 국가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한 점도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 브라질과 러시아, 인도, 중국을 일컫는 브릭스는 이날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회의를 열었다.

 

애플은 1.69% 떨어졌다. 피터 나바로 미국 백악관 무역고문이 언론에서 애플의 탈(脫)중국 움직임이 충분히 빠르지 못하다고 압박한 데 따른 투심 악화로 보인다. 테슬라는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새로운 정당 '아메리카당'을 창당하고 정치에 더 깊이 관여하겠다고 선언하면서 주가가 6.79% 떨어졌다.

 

반면 인공지능(AI) 방산업체 팔란티어는 이날도 3.54% 뛰며 시가총액 3천억달러 선을 지켜냈다. 민간 교정시설 운영업체인 지오그룹은 4.5%, 코어시빅은 3.92% 올랐다. 트럼프가 추진하던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예산·감세 법안(Big, Beautiful Bill)'에서 이민자 구금센터에 대한 예산이 대폭 증액됐다는 소식이 부각된 영향이다.

 

트럼프가 한국과 일본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여파로 미국 증시에 상장된 한국 기업들의 주식도 타격을 입었다. 뉴욕증시에 상장된 일본 도요타자동차와 혼다자동차의 주가는 각각 4% 안팎으로 밀렸다. 미국에 상장된 SK텔레콤의 주가는 7% 이상 떨어졌고 LG디스플레이도 6% 넘게 하락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7월 기준금리 동결 확률을 95.3%로 유지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