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은 미국 캘리포니아 LA에 있는 원유 펌프잭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에서 국제 유가가 오랜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전일까지 무려 8일째 소폭이지만 상승세를 이어간 바 있다. 국제 천연가스 가격 역시 전날의 급등세를 뒤로하고 이날은 다시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먼저 뉴욕 유가는 9거래일 만에 하락세로 전환했다. 18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2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0.70달러(0.87%) 하락한 배럴당 79.4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아울러 북해산 원유인 브렌트유도 한국시간 19일 오전 5시 07분 현재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3월물이 전일보다 1달러(1.16%) 하락한 배럴당 84.92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유가는 장 내내 오름세를 유지했으나 막판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의 발언 이후 긴축 위험이 다시 커지며 위험회피 심리가 강화돼 하락세로 돌아섰다.
미국의 12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계절 조정 기준 전월 대비 0.5% 하락했다. 이는 시장의 예상치인 0.1% 하락보다 낙폭이 큰 것으로 전달의 0.2% 상승에서 하락세로 돌아선 것이다. 12월 PPI는 비계절조정 기준 전년 동기 대비로는 6.2% 올라 예상치인 6.8% 상승과 전월 수정치인 7.3% 상승보다 하락했다.
이 같은 소식에 달러화 가치가 하락하고 국채금리가 떨어지며 위험선호 심리가 확산했다. 그러나 불러드 총재가 2월 회의에서 0.50%포인트 금리 인상이 적절하다고 언급하면서 위험회피 심리가 강화됐다. 달러화 가치가 다시 오름세를 보였으며 연준의 긴축 우려가 다시 강화되며 유가는 하락세로 방향을 틀었다.
연준 내 대표적인 매파 인사인 불러드 총재는 금리를 5%로 웃도는 수준으로 인상하기 위해 신속하게 움직여야 한다며 2월 회의에서 0.50%포인트 금리 인상이 적절할 것이라고 말했다.
프라이스 퓨처스 그룹의 필 플린 선임 시장 애널리스트는 유가는 이날 대부분 오름세를 보였으나 불러드 총재의 발언 이후 하락세로 돌아섰다고 말했다. 그는 불러드 총재의 발언은 생산자 물가 둔화와 소매판매 약화에도 연준이 다시 0.50%포인트 금리 인상에 나설 수 있다는 공포를 야기했다며 공격적인 금리 인상은 침체를 야기하고 에너지 수요를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중국의 수요 개선에 힘입어 올해 원유 수요가 기존보다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올해 전 세계 원유 수요는 하루 평균 1억170만 배럴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팬데믹 이전 수준을 웃도는 것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IEA는 중국의 올해 원유 수요 전망치도 하루 10만 배럴 상향한 하루 1천590만 배럴로 높여 잡았다. 중국 경기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경제 재개로 빠르게 회복할 것을 예상한 것이다.
SPI에셋 매니지먼트의 스티븐 이네스 매니징 파트너는 "중국 소비 엔진의 복귀는 원유 시장 전망에 엄청난 것"이라며 "산업용 엔진이 활기를 띠고 원유 상품을 소비하는 동안 소비자들도 휘발유 부문에서 소비를 따라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의 가계 저축 누적분이 엄청나며, 지난 3년간 (저축이) 빠르게 증가했다"며 "결국 중국의 소비가 재개되면 이는 유가를 촉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런가 하면 국제 천연가스 가격은 한국시간 19일 오전 4시 59분 현재 뉴욕상업거래소 기준으로 2월물 선물이 100만 BTU당 전장보다 0.278달러(7.75%) 급락한 3.308달러를 가리키고 있다. 최근 시세로는 가장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이에 앞서 지난 18일 오전 4시 59분 현재 뉴욕상업거래소 기준으로 2월물 선물이 100만 BTU당 전장보다 0.213달러(6.23%) 급등한 3.632달러를 기록하고 있었다.
지난 14일 오전 5시 24분 현재 뉴욕상업거래소 기준으로 2월물 선물이 100만 BTU당 전장보다 0.226달러(6.12%) 급락한 3.469달러를 기록하고 있었다.
이에 앞서 13일 오전 5시 5시 14분 현재 뉴욕상업거래소 기준으로 2월물 선물이 100만 BTU당 전장보다 0.029달러(0.79%) 상승한 3.700달러를 마크하고 있었다.
12일 오전 5시 08분 현재 뉴욕상업거래소 기준으로 2월물 선물이 100만 BTU당 전장보다 0.047달러(1.29%) 상승한 3.686달러를 기록하고 있었다. 앞서 11일 오전 5시 46분 현재 뉴욕상업거래소 기준으로 2월물 선물이 100만 BTU당 전장보다 0.316달러(8.08%) 급락한 3.594달러를 기록하고 있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