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국제 유가 급락세 이어가며 60달러선 겨우 지켜, 천연가스도 오랜만에 동반 하락

기획·연재 / 김완묵 기자 / 2025-10-03 04:24:37
천연가스,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38달러(1.09%) 하락한 3.438달러
WTI는 전장 대비 1.3달러(2.10%) 급락한 배럴당 60.48달러에 거래 마쳐
▲미국 뉴욕에서 2일(현지시간) 국제 유가가 급락세를 이어가고 천연가스 가격도 동반 하락했다. 사진은 미국 캘리포니아 LA에 있는 원유 펌프잭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에서 2일(현지시간) 국제 유가가 급락세를 이어가면서 배럴당 60달러를 겨우 지켜내는 상황이다. 천연가스 가격도 이날은 소폭 하락세로 전환한 상태다. 

 

먼저 뉴욕 유가는 또다시 2% 넘게 급락하면서 60달러선을 간신히 지켜내는 데 만족했다. 주요 산유국의 산유량 증대라는 큰 흐름이 유가에 지속적으로 하방 압력을 넣고 있다. 2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대비 1.3달러(2.10%) 급락한 배럴당 60.4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종가는 지난 5월 9일 이후 최저치다. 종가 기준으로 WTI 가격이 마지막으로 60달러 선을 하회한 시기는 지난 5월 8일이었다.

아울러 북해산 원유인 브렌트유는 한국시간 3일 오전 4시 20분 현재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가격이 전장 대비 1.19달러(1.82%) 하락한 배럴당 64.16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주요 산유국의 증산 기조가 원유 시장의 모든 재료를 잡아먹고 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가자지구를 둘러싼 전쟁을 종식하는 단계로 접어들면서 지정학적 긴장감도 옅어졌다.

러시아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을 상대로 군사 도발 수위를 높이지 않으면 유가를 밀어 올릴 만한 재료가 많지도 않다. 미국 고용 약화로 경기마저 둔화하면 원유 수요는 더 약해질 공산이 크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주요 산유국의 확대 협의체인 OPEC+는 11월에 하루 원유 생산량을 최대 50만 배럴 늘리는 방안을 고려 중으로 알려졌다. 이는 10월에 늘린 생산량의 3배에 달하는 수치다.

오닉스캐피털그룹의 호르헤 몬테페크 매니징 디렉터는 맥쿼리 등 일부 은행이 석유 과잉 공급을 예상했다며 이것이 투자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UBS의 조반니 스타우노보 상품 분석가는 "러시아산 원유 공급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시장에 다시 나오고 있다"면서도 "공급 차질이 실제 발생하지 않는 한 이것이 유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외신은 미국 정부가 우크라이나에 러시아의 에너지 인프라를 장거리 미사일로 공격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러시아에 대한 경제 제재의 일환이다.

그런가 하면 천연가스 가격은 4거래일 만에 소폭 하락하고 있다. 한국시간 3일 오전 4시 15분 현재 미국 뉴욕에서 11월물 천연가스 가격은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38달러(1.09%) 하락한 3.438달러를 나타내고 있다. 

앞서 2일 오전 5시 20분에는 미국 뉴욕에서 11월물 천연가스 가격이 100만 BTU당 전날보다 0.151달러(4.57%) 급등한 3.454달러를 가리키고 있었다. 지난 10월 1일 오전 4시 25분 현재 미국 뉴욕에서 11월물 천연가스 가격은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65달러(1.99%) 상승한 3.332달러를 마크하고 있었다. 

이에 앞서 30일 오전 4시 30분에는 미국 뉴욕에서 11월물 천연가스 가격이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64달러(2.00%) 오른 3.270달러를 마크하고 있었다. 앞서 27일 오전 4시 50분 현재 미국 뉴욕에서 11월물 천연가스 가격은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17달러(0.53%) 하락한 3.178달러를 가리키고 있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