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비해 마이크로소프트는 0.3%, 애플 0.7%, 아마존닷컴 0.5%,
메타 0.7%, 테슬라 1.4%, 넷플릭스 1.6%, 팔란티어 0.8%, AMD가 1.6% 하락
![]() |
| ▲미국 뉴욕증시는 장 후반에 지역은행 부실 문제가 불거지며 3대 지수가 모두 하락하며 마감했다. 사진은 미국 연방준비제도 청사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는 이날도 전날과 같이 변동성이 큰 하루를 보냈다. 장 초반 대만 TSMC의 눈부신 호실적에 힘입어 동반 상승세를 보였지만, 오후 들어 상승폭을 다 반납하고 3대 주가지수가 모두 마이너스로 전환하며 마감했다. 장중엔 반도체지수마저 하락하며 낙폭이 커지기도 했지만 마감시간 무렵엔 다시 낙폭을 많이 만회했다. 특히 반도체지수는 플러스로 전환하면서 시장을 받치는 버팀목 역할을 했다.
16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01.07포인트(0.65%) 하락한 45,952.24를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41.99포인트(0.63%) 떨어진 6,629.07을,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107.54포인트(0.47%) 하락한 22,562.54를 가리키며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32.96포인트(0.49%) 상승한 6,800.02를 나타내며 마감했다.
주요 종목으로는 엔비디아가 1.1% 상승한 것을 비롯해 구글의 알파벳 0.1%, 브로드컴 0.8%, ARM이 0.3% 상승하며 마감했다. 이에 비해 마이크로소프트는 0.3%, 애플 0.7%, 아마존닷컴 0.5%, 메타 0.7%, 테슬라 1.4%, 넷플릭스 1.6%, 팔란티어 0.8%, AMD가 1.6% 하락하며 마감했다.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제법 큰 폭 하락하고 있다. 현지시간 오후 3시 5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71%포인트(7.1bp) 하락한 3.974%를 나타내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86%포인트(8.6bp) 내린 3.420%를 기록하고 있다.
이에 앞서 현지시간 오전 10시 15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2.04포인트(0.16%) 오른 46,325.35를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23.74포인트(0.36%) 뛴 6,694.80을,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149.58포인트(0.66%) 상승한 22,819.66을 가리켰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장 초반 미국 기술기업과 대만 TSMC의 호실적으로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산업에 대한 기대감이 강해지면서 주가도 상승 탄력을 받았다. TSMC는 지난 3분기 순이익이 4523억대만달러(약 21조원)를 기록하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고 발표했다. AI용 반도체 수요가 급증한 데 따른 결과물이다.
하지만 미국 내 지역은행인 자이언스 뱅코프와 웨스턴 얼라이언스가 부실대출 논란에 휩싸이면서 두 은행의 주가가 10% 넘게 폭락했으며 이에 영향을 받아 은행주 전반이 타격을 받았다.
아울러 글로벌 증시가 지나치게 AI와 반도체에만 의존하는 흐름에 경고하는 목소리도 뒤따르고 있다. LPL의 아담 턴퀴스트 수석 기술 전략가는 "추세 모델에 따르면 S&P500 종목 중 상승 추세를 보이는 종목이 하락 추세를 보이는 종목보다 더 많지만, 격차가 좁혀지고 있다는 것은 시장 기반에 균열이 생기고 있음을 시사한다"며 "이런 균열은 랠리를 주도하는 소수의 주요 종목에 집중된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은 아직 해소되지 않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1월 1일부터 중국산 모든 수입품에 1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이후 이에 대한 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미국 연방 정부의 셧다운(일시 업무 정지)이 2주 넘게 지속되는 가운데 주요 경기지표는 그에 따라 여전히 발표가 미뤄지고 있다.
주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인사는 대체로 비둘기파적 입장을 이어 나갔다. 다만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기준금리를 내리는 것은 경계했다.
월러는 이날 연설에서 "이번 달 정책금리를 25bp 추가 인하해야 한다고 본다"면서도 "그 이후에는 탄탄한 국내총생산(GDP) 데이터와 고용시장 간 불일치가 어떻게 해소되는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스티븐 마이런 연준 이사는 이날도 50bp 금리인하의 정당성을 주장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