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매입 3년 연속 증가…올해만 2800톤 확보
평균 20% 저렴한 가격에 로켓프레시 새벽배송
[소셜밸류=한시은 기자] 쿠팡은 최근 3년간 전국 농가에서 직매입해 로켓프레시 새벽배송으로 선보인 ‘못난이 채소’ 누적 매입 규모가 8000톤을 돌파했다고 18일 밝혔다. 기후 피해와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농가에 안정적 판로를 제공하는 한편, 소비자에게는 합리적 가격의 신선 채소를 공급해 장바구니 부담을 낮추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가다.
쿠팡은 못난이 채소 매입을 본격화한 2023년 1500톤, 2024년 3700톤, 올해(1~10월) 2800톤 이상을 전국 농가에서 직접 매입했다. 이 같은 증가세로 최근 3년 누적 규모는 8000톤을 넘어섰다. 현재 전국 각지의 농가와 협력해 무·버섯·당근·파프리카·애호박·오이 등 약 20종 제품을 취급하고 있다.
![]() |
| ▲ 쿠팡이 최근 3년간 전국 농가에서 직매입해 로켓프레시 새벽배송으로 선보인 ‘못난이 채소’ 누적 매입 규모가 8000톤을 돌파했다./사진=쿠팡 제공 |
매입 지역은 강원 평창·정선·태백·홍천, 충북 괴산, 충남 논산·부여, 전북 고창, 전남 해남·함평·화순, 경북 상주·의성 등 인구감소지역이 대거 포함됐다. 쿠팡은 제주를 포함한 전국 수백 개 농가와 협력하며 지역 농가 소득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못난이 채소는 외형이 규격에 맞지 않아 일반 유통에서 제외되는 상품이지만, 신선도와 맛은 정상 제품과 차이가 없다. 쿠팡은 산지 직매입을 통해 평균 20%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하고 있다. 특히 이상기후로 작황 피해가 컸던 올해는 폐기될 채소가 수익으로 전환되는 효과가 컸다는 설명이다.
농가 반응도 긍정적이다. 경기 용인의 군자농원은 “올해 10월까지 납품 버섯 중 못난이 표고버섯 비중이 30%에 달한다”며 “판로 확보와 물류비 절감으로 고용도 전년보다 20% 늘었다”고 말했다. 충남 당진의 그린팜 영농조합은 “판매가 어려웠던 못난이 무가 효자 품목이 됐다”며 “안정적 매입이 농가 경영에 큰 힘이 된다”고 밝혔다.
쿠팡은 산지에서 직매입한 채소를 자체 물류센터에서 검수·포장 후 로켓프레시 새벽배송으로 제공해 소비자 편의성도 높였다. 오전 7시까지 배송되는 새벽배송은 소비자에게 높은 호응을 얻고 있으며, 가성비·신선도 측면에서 못난이 채소의 인기도 커지고 있다.
정치권에서도 좋은 평가가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신정훈 의원(나주·화순)은 “쿠팡의 매입 정책이 전남 등 농촌지역의 물류 부담을 줄여 지역 경제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다”며 “향후 산간·농촌 기반 협력 농가 확대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쿠팡은 앞으로도 산간·농촌 지역 중심으로 협력 농가를 확대할 계획이다. 쿠팡 관계자는 “물류·기술 역량을 기반으로 농가와 고객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선순환 구조를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