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미국 뉴욕증시, 공화당 승리에 베팅해 나스닥 등 3일 연속 올랐지만...불안감 여전

뉴스 / 김완묵 기자 / 2022-11-09 07:01:14
민주당이 하원과 상원을 모두 이기는 깜짝 승리에 나설 경우 주가에 부담이 될 수 있어
10월 근원 CPI는 전년 대비 6.5% 오를 것으로 전망...주가지수에 압박으로 작용할 여지

▲ 미국 뉴욕증시가 8일(현지시간) 3일 연속 상승세를 나타냈지만 불안감은 여전한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NYSE) 입회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를 처리하는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가 미국 전역에서 중간선거가 치러지는 가운데, 공화당의 승리를 예상한 듯 3일 연속 상승세로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공화당의 승리를 대체로 반기는 분위기라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 즉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이 우세할 경우 법인세 관련 정책이 제한될 수 있다는 기대가 주가지수를 떠받쳤다는 분석이다. 

 

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33.83포인트(1.02%) 상승한 33,160.83을 기록하며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날보다 21.31포인트(0.56%) 오른 3,828.11을 기록하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51.68포인트(0.49%) 상승한 10,616.20을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52.76포인트(2.15%) 급등한 2,503.39를 가리키며 마감했다.

 

주요 종목으로는 테슬라가 2.9% 하락한 것을 비롯해 아마존닷컴이 0.6%, 메타가 0.2% 하락세를 나타내며 마감했다. 특히 테슬라는 전날에 이어 이틀째 큰 폭의 하락세를 나타냈다. 반면 애플은 0.4%, 엔비디아는 2.1%, 마이크로소프트는 0.4%, AMD는 1.2%, 구글의 알파벳이 0.4%, 넷플릭스가 1.8% 상승하며 대조를 이뤘다.


이날 현지시간 오후 3시 39분 현재 미국 국채금리는 일제히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10년물이 전날보다 0.084%포인트(8.4bp) 하락한 4.13%를 기록하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67%포인트(6.7bp) 떨어진 4.659%를 가리키고 있다.

 

미국 뉴욕증시가 미국 전역에서 중간선거가 치러지는 가운데, 공화당의 승리를 예상한 듯 이틀 연속 상승세로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공화당의 승리를 대체로 반기는 분위기라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 

 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33.83포인트(1.02%) 상승한 33,160.83을 기록하며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날보다 21.31포인트(0.56%) 오른 3,828.11을 기록하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51.68포인트(0.49%) 상승한 10,616.20을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52.76포인트(2.15%) 급등한 2,503.39를 가리키며 마감했다.

 

주요 종목으로는 테슬라가 2.9% 하락한 것을 비롯해 아마존닷컴이 0.6%, 메타가 0.2% 하락세를 나타내며 마감했다. 특히 테슬라는 전날에 이어 이틀째 큰 폭의 하락세를 나타냈다.
반면 애플은 0.4%, 엔비디아는 2.1%, 마이크로소프트는 0.4%, AMD는 1.2%, 구글의 알파벳이 0.4%, 넷플릭스가 1.8% 상승하며 대조를 이뤘다.


이날 현지시간 오후 3시 38분 현재 미국 국채금리는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10년물이 전날보다 0.076%포인트(7.6bp) 하락한 4.138%를 기록하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52%포인트(5.2bp) 떨어진 4.674%를 가리키고 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국 뉴욕증시 투자자들은 이날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이 우세할 가능성을 살피는 가운데 오는 10일 발표되는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도 주목했다.

 

3대 지수는 중간선거일에 앞서 3거래일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다우지수는 3거래일 동안 매일 1%대 올랐고,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도 사흘 연속 꾸준하게 상승했다.

 

이날 여론 조사에 따르면 공화당이 하원을 장악하고, 상원에서도 가까스로 다수당이 될 것으로 예측됐다. 중간선거는 통상 주식시장에서는 호재로 인식된다.

 

LPL분석에 따르면 1950년 이후 중간선거가 있었던 18번 동안 선거 이후 12개월간 주가가 모두 올랐다. 평균 상승률은 14.7%에 달했다.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이 우위를 보이면서 정부의 법인세 관련 정책이 제한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로 주식시장은 지지됐다.

 

반면 공화당이 우세할 경우 기존의 재정 지출에 부담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우려도 일었다. 아울러 이번에는 인플레이션과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공격적 금리 인상, 경기 침체 우려로 예전의 상황과 다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UBS는 내년 2분기에서 4분기까지 미국 경제가 침체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로 인해 내년 2분기에 S&P500지수가 3,200까지 떨어지며 바닥을 치고 내년 말에 3,900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2024년 연말 전망치는 4,400으로 제시했다. 다만 경제가 예상보다 빠르게 개선될 경우 4,400은 내년에도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투자자들은 10일 발표되는 소비자물가지수(CPI)도 주목하고 있다. CPI 상승세가 완화되면 연준이 금리 인상 속도를 낮출 근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이번 10월 CPI가 전년 대비 7.9% 상승해 전월 8.3%보다 상승세가 누그러질 것으로 예상했다. 10월 근원 CPI는 전년 대비 6.5%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전월 6.6%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다. 이에 주가지수는 오후 한때 하락 전환하는 등 변동성을 보였으나 장후반에 다시 상승했다.

 

반도체 기업인 엔비디아의 주가는 미국 정부의 반도체 중국 수출 금지 규정을 우회할 수 있는 반도체 제품을 출시할 수 있다는 기대로 올랐다. 테슬라 주가는 미국에서 전기차 4만여 대를 리콜한다는 소식에 하락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공화당이 승리할 가능성이 주가에 반영되고 있는 만큼 이외의 결과가 나올 경우 주가가 반대로 움직일 수 있다고 말했다. 골드만삭스의 얀 해치우스는 보고서에서 "공화당이 승리할 경우 시장의 반응은 조용할 수 있다"며 "하원의 결과는 이미 대체로 (승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 공화당이 하원을 차지하면, 상원의 결과는 정책에 큰 차이를 주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민주당이 하원과 상원을 모두 이기는 깜짝 승리에 나설 경우 주가에 부담이 될 수 있다"며 "시장 참가자들이 법인세의 추가 인상을 예상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스테이트 스트리트글로벌 어드바이저스의 엘리엇 핸토브 매크로 정책 담당 대표는 중간선거 이후 1년 동안의 주가 수익률은 대통령의 첫 4년 임기 중 가장 높았다며 중간선거로 야당이 의회를 장악하면 양분된 정부가 예측 가능한 정치를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12월에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43.2%였다. 이에 비해 0.5%포인트 인상 가능성은 56.8% 정도로 나타났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