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천연가스 5% 하락 100만 BTU 2.8달러...유가는 2% 상승 브렌트유 81달러

뉴스 / 김완묵 기자 / 2023-11-29 06:02:39
▲미국 뉴욕에서 28일(현지시간) 유가는 반등한 반면 천연가스 가격은 속락세를 나타냈다. 사진은 텍사스 미들랜드 지역의 원유 펌프잭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에서 11월 28일(현지시간) 국제 유가는 2%가량의 상승세를 보이는 반면 천연가스 가격은 5% 가까이 하락세를 나타내며 대조를 이루고 있다. 유가 및 천연가스 가격은 오는 30일(현지시간) 열리는 석유수출국기구 플러스(OPEC+) 산유국 정례회의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먼저 유가는 석유수출국기구 플러스(OPEC+) 산유국 회의를 앞두고 5거래일 만에 상승했다. 28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1.55달러(2.07%) 오른 배럴당 76.4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WTI 가격은 전날까지 4거래일 연속 하락했으며 이날 5거래일 만에 반등했다. 유가는 이날 반등에도 11월에만 5.69% 하락했다.

 

아울러 북해산 원유인 브렌트유는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한국시간 11월 29일 오전 5시 9분 현재 2024년 2월 인도분이 전장보다 배럴당 1.60달러(2.00%) 상승한 81.47달러에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여전히 오는 30일 예정된 OPEC+ 산유국 정례회의를 주시하고 있다. 당초 26일이었던 회의가 미뤄지면서 산유국 간의 추가 감산 논의에 대한 합의가 어려운 것 아니냐는 우려를 증폭시켰다.

이로 인해 OPEC+가 이번 회의에서 기존 감산 규모를 내년으로 연장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예상됐다. 이번 회의에서는 내년 생산 쿼터를 논의할 예정이며 회의는 당초 계획과 달리 온라인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세븐스 리포트 리서치는 보고서에서 앞으로의 유가 움직임은 OPEC+가 지속해서 통합된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지와 장기적으로 가격 안정, 즉 가격을 떠받칠 것이라는 약속을 지켜줄지에 달렸다고 말했다.

이들은 "30일 결정이 유가를 효과적으로 지지하는 협의체의 역량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준다면 유가는 80달러 중반이나 그 이상으로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그러나 "협의체가 분열된 모습을 보여줄 경우 유가는 최저 50달러대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는 등 올해 새로운 저점을 쓸 것이 거의 확실하다"고 말했다.

OPEC 내 아프리카의 회원국들이 감산 규모에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는 회의 연기를 촉발했다. OPEC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는 기존 감축에 더해 7월부터 하루 100만배럴의 자발적 감산을 시행해오고 있으며 이는 유가를 끌어올리는 데 일조했다.

ING의 애널리스트들은 보고서에서 사우디의 추가적인 자발적 감산 연장은 내년 1분기에 원유 과잉 가능성을 없애버릴 수 있지만, OPEC+가 시장을 더 탄탄하게 떠받칠 지지를 제공하고, 내년 초 재고가 누적되지 않도록 하려면 그들은 더 깊고, 광범위한 감산에 나서는 데 동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런가 하면 천연가스 가격은 지속해서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한국시간 29일 오전 5시 7분 현재 뉴욕상업거래소 기준으로 2024년 1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이 100만 BTU당 전장보다 0.146달러(4.96%) 하락한 2.80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앞서 28일 오전 5시 4분에는 뉴욕상업거래소 기준으로 2024년 1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이 100만 BTU당 전장보다 0.061달러(2.03%) 하락한 2.938달러를 나타내고 있었다. 지난 25일 오전 5시 44분 현재 뉴욕상업거래소 기준으로 12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은 100만 BTU당 전장보다 0.032달러(1.10%) 떨어진 2.865달러를 가리키고 있었다. 

이에 앞서 23일 오전 6시 03분에는 뉴욕상업거래소 기준으로 12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이 100만 BTU당 전장보다 0.058달러(2.04%) 상승한 2.904달러를 기록하고 있었다. 앞서 22일 오전 5시 06분 현재 뉴욕상업거래소 기준으로 12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은 100만 BTU당 전장보다 0.028달러(0.97%) 내린 2.854달러를 마크하고 있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