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1호 태풍 힌남노 경로/사진=연합뉴스 제공 |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5일 밤 12시께 제주를 가장 가까이 지나 남해안을 향해 북동진을 계속하고 있다.
이광연 기상청 예보분석관은 "힌남노가 자정에 제주 성산포 동쪽 40㎞ 해상을 지나며 제주를 최근접 통과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힌남노가 제주를 가장 가까이 지날 때 중심기압과 최대풍속은 각각 945hPa(헥토파스칼)과 45㎧로 강도는 '매우 강'이었다. 태풍이 제주를 지나 북상할 때까지 이 정도 세력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힌남노가 경남해안에 상륙하는 시점은 6일 오전 5~6시로 예상된다. 5일 오후 11시 위치를 기준으로 힌남노와 경남 통영까지 거리는 250㎞, 부산까지는 320㎞, 경북 포항까지는 410㎞, 울릉도까진 620㎞다.
기상청은 "힌남노 진로나 속도에 따라 경남해안 상륙 시점이 달라질 수 있으니 최신 기상정보를 확인해달라"라고 당부했다.
6일 새벽 경남에는 시간당 30㎜ 이상씩 비가 쏟아지고 있다. 전국적으로는 비가 시간당 5~20㎜ 정도 내리는 상태다. 앞서 기상청은 5~6일 전국에 비가 100~300㎜ 내릴 것으로 예상했다.
기상청은 5일 내린 비의 양을 반영해 6일 예상 강수량을 80~150㎜로 조정했다. 남해안·경상동해안·강원영동남부·제주산지·지리산부근·울릉도·독도에는 6일 250㎜ 이상 비가 내릴 수도 있다.
6일 새벽 현재 제주·전남·경남에는 최대순간풍속이 30㎧(시속 110㎞) 내외인 '초강풍'이 부는 곳이 있다.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에는 5일 밤 12시께 최대순간풍속이 41㎧(시속 147㎞)를 기록했다.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에는 이날 오후 11시 13분께 38.6㎧의 강풍이 불었다.
![]() |
▲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북상 중인 5일 오후 9시 55분께 전남 순천시 송광면 우산리 한 도로에서 나무가 쓰러져 소방당국이 안전 조치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 |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