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이라는 공간에 대해 묻다. 독립출판문예지 〈당신이 우리를 탈출할 때〉 출간
〈당신이 우리를 탈출할 때〉 저자 고민희, 이산호, 이지빈, 전다은, 최연아 - 자람출판사
오도현
qjadl0150@naver.com | 2021-06-18 12:08:15
책 소개
당신이 우리를 탈출하는 순간은 언제일까요?
<당신이 우리를 탈출할 때>는 독자를 각 작가의 방에 초대하면서부터 시작합니다. 각 방에 담겨져 있는 글에는 문을 열고 나갈 수 있는 키워드가 숨겨져 있습니다. 독자는 키워드를 찾아 나갈 수도, 머무를 수도 있습니다. 독자는 방문한 방의 모양을 잘 살펴봐야 합니다. 어떤 열쇠가 맞을지 고민해야 합니다. ‘우리’는 우리를 가두는 자체적인 프레임, 혹은 당신을 방으로 초대한 우리 그 자체이기도 합니다. 독자는 텍스트 자체에서만 힌트를 찾지 않습니다. 책에 숨겨진 비밀을 파헤치다보면 책의 마지막 장에서는 독자를 기다리고 있는 문이 있습니다.
이 책은 일상 속 균열을 느끼는 모든 사람들이 독자층입니다. 이 책은 텍스트에만 머물러있지 않는 글입니다. 탈출을 위한 힌트와 정답이 제시되는 게임 콘셉트의 글입니다. 쌍방향적 작용을 위한 장치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먼저, 프롤로그의 애너그램을 통해 게임 형식을 유지합니다. 에필로그에는 탈출을 위한 힌트가 담긴 좌담회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최종적으로 책날개에 삽입된 QR코드를 통해 정답을 맞출 수 있습니다.
각각의 방은 작가들의 테마로 구성되어 있고, 모든 방은 일상과 의식의 전환을 담은 자기 서사의 이야기를 기반으로 설계됐습니다. 모든 방은 개인주의적인 흐름을 파괴하려기보다 존중해주는 공감의 공간입니다. 이는 이어지는 코로나19 사태로 자신의 방에서 개인적인 시간을 보내는 독자들에게 ‘방’이라는 공간에 대한 환기를 시켜주는 취지가 담겨있습니다.
궁극적으로 이 책은 ‘방’이라는 공간에 대한 물음에서부터 시작됩니다. 방에 내가 맞춰져 있는 것인지, 맞춰나가는 것인지에 대한 궁금증으로부터 작가들이 모여 자신의 방에 대한 이야기를 토로합니다. 매일 경험하는 일상적인 공간 속에서 규격화 된 틀을 찾아 나선 다섯 명의 작가들은 각각의 키워드를 갖고 방을 구축해내거나 혹은 붕괴시킵니다. 이러한 과정 또한 탈출의 과정입니다. 독자는 이와 같은 과정을 작가와 함께합니다. 해석의 몫은 오로지 독자에게 주어져있습니다.
2021년 6월 10일부터 2021년 7월 10일까지 안산시 상록구 소재의 난나책방에서 매대 전시를 진행하며, 곧 온라인 네이버스토어에서도 구입이 가능할 예정이다.
저자 소개
- 고민희, 이산호, 이지빈, 전다은, 최연아
방은 방으로서만 존재 하는가? 라는 물음을 가진 다섯 명의 작가들이 서울예술대학교에 재학 한다는 공통점 하나로 모였습니다. 전공도, 방식도, 지역도 전혀 다릅니다. 우리는 제한 없는 글을 씁니다. 형식과 분량에 제한을 두지 않습니다. 시, 소설, 희곡, 에세이 이외에도 다양한 텍스트를 통해 독자들에게 방을 공유합니다. 이들이 공유하고자 하는 방은 개인의 취향과 경험이 오롯이 반영된 공간입니다. 우리는 제한 없는 영역을 다룹니다. 어느 작가가 어떤 글을 썼는지 공개하지 않은 채로 작품을 감상해주시길 바랍니다. 이건 개인의 이야기면서 동시에 모두의 일입니다. 당신의 일이기도 합니다.
목차
<Prologue> 당신을 가두는 방이 있나요?
B-ROOM
- 모르는 이야기
- 부다, 페스트
- 우리 집에 가자
- 우리 나중에
R-ROOM
- 당신이 되는 상상
- HARRY
E-ROOM
- 방에 대한 단상
- 최선 헤어
- 진실은 사실보다 강하다
A-ROOM
- 개종
- 그런 게 있다고 믿는 일은 사실 나를 믿는 일이다
- 로봇 만화가 끝나고
K-ROOM
- Pinking Allegro
- Cherry Harry
- Closecloset
- NIGHT HA(N)G
- Tropical Dream
- Kioask ; 결국 Z로 향하는 이야기
- somniloquilism
- Jamais Vu
<Epilogue> 좌담 : 당신이 우리를 탈출할 때
[소셜밸류= 오도현 기자]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