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월 1일부터 종이 신문 구독료 소득공제 시행된다.

- 2021년 1월 1일부터 종이 신문 구독료 소득공제 시행
- 지로, 계좌이체 시 문화비 소득공제 전용 현금 영수증을 발급받아야 적용
- 해당 신문이 문화비 소득공제 제공 사업자로 등록돼 있어야 가능

김미진 기자

qjadl0150@naver.com | 2021-01-06 17:17:00

사진: 문화비 소득공제 신문구독료 포스터 [제공 = 한국문화정보원]

2021년 1월 1일부터 종이 신문을 구독하기 위해 신용카드 등으로 사용한 금액(이하 신문구독료)도 문화비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문화비 소득공제는 도서 구입비, 공연 관람료 및 박물관·미술관 입장권 구입을 위해 사용된 금액을 연말정산 시 추가 공제해 주는 제도로, 올해부터 신문 구독료가 새롭게 포함된다.


신문 구독료 사용분은 2021년도 귀속 근로소득 연말정산 시(2022년 1월부터) 적용되며, 소득공제를 받기 위해 알아야 할 유의 사항을 소개한다.


먼저 신문 구독료의 공제 대상은 일간 신문, 주간 신문 등 종이 신문만 해당되며 인터넷 신문은 포함되지 않는다. 종이 신문을 취급하는 신문 사업자라 하더라도 한국문화정보원에 문화비 소득공제 제공 사업자로 등록된 사업자에게 구독했을 때만 소득공제를 할 수 있다. 소득공제가 가능한 신문사는 문화비 소득공제 누리집에 접속해 검색할 수 있으며, 웹 및 모바일 웹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신문 구독자가 한국문화정보원에 등록된 사업자에게 구독 비용을 신용카드로 결제하는 경우 자동으로 문화비 소득공제가 적용된다. 그러나 지로, 계좌이체 등 현금으로 결제했다면 반드시 문화비 소득공제 전용 현금 영수증을 발급받아야 한다. 결제할 때 꼭 사업자에게 문화비 전용 현금 영수증인지를 확인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제 대상자는 총 급여 7,000만 원 이하 근로소득자 가운데 신용카드 등 사용 금액이 총 급여액의 25%를 초과하는 경우가 해당된다. 공제율은 30%며, 도서·공연·박물관·미술관·신문 사용분에 대해 추가로 최대 100만 원의 공제한도가 인정된다.


문화비 소득공제는 국민의 문화 향유를 위해 지원 범위를 확대하고 있으며 현재 5,000여 개 사업자가 등록돼 있다.


문화비 소득공제 사업자를 접수하는 한국문화정보원 홍희경 원장은 “신문 구독 비용을 지로나 계좌이체로 지급한다면 문화비 소득공제 전용 현금 영수증을 꼭 발급받아 소득공제받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소셜밸류= 김미진 기자]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