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레터]#7 행복이 가득한 집은 어떻게 생겼을까?
행복이 가득한 집을 그린 칼 라르손
이수아
sua@artlamp.org | 2020-12-29 21:54:31
시대의 개념을 정립하고 미래를 앞서 예견하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예술가들에게도 마찬가지이죠. 우리에게 가장 유명한 스웨덴 화가 중 한 명인 칼 라르손은 처음에 자국에서 성공을 거두지 못했습니다. 그가 파리의 외곽 스칸디나비아 예술 지구로 이주했을 때, 그리고 기존의 유화를 포기하고 수채화를 시작했을 때부터 그의 인생은 달라졌습니다.
스칸디나비아 디자인의 전신이자, 자신의 집을 가장 아름다운 작품으로 만든 칼 라르손의 작품을 알아봅니다.
칼 라르손은 스웨덴의 매우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났습니다. 알코올 중독자였던 아버지는 “네가 태어난 날을 저주한다.”라는 폭언을 서슴지 않았으며, 칼에게 학대는 물론이고 끔찍한 고통을 줬습니다. 하지만 다행히도 그의 타고난 재능을 알아본 학교 선생님 덕분에 어린 나이에 미술 학교를 다닐 수 있었습니다.
파리에서 인상주의가 유행하던 시절, 칼은 그만의 길을 찾고자 했지만 인정을 받지 못하고 결국 파리 외곽에 있는 스칸디나비아 예술 지구로 이사해 아내와 아이들과 함께 살게 되었습니다. 그 뒤, 유화에서 수채화로 화풍을 바꾸고 서서히 당대의 유화에서는 볼 수 없는 그만의 특징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부부의 집은 아내의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았습니다. 그들은 아늑하고 편안한 미술공예운동(Arts and Craft Movement)의 컨셉으로 집을 꾸며나가기 시작했습니다. 카린은 식탁보, 소파 천 등 직물 제품을 직접 만들었고, 칼은 그림을 그렸으며 가끔씩 순수 예술 회화 작업도 했습니다.
카린도 칼과 마찬가지로 예술가였지만 결혼 후 8명의 자녀를 두면서 일을 그만둘 수밖에 없었습니다. 가장이던 칼은 그의 아버지와 달리 가정적이었고, 아내와 아이들을 사랑으로 보살피고 아끼며 가정의 행복을 삶의 행복으로 발전시켰습니다.
보통 스칸디나비아에선 쌀쌀한 기후로 인해 집 안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야 했고, 따라서 아늑한 집안의 환경을 추구했습니다. 라르손 부부 또한 집안에 새로운 디자인과 오래된 북유럽 전통을 결합했습니다.
크고 웅장하기보단 작고 실용적이면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그들의 인테리어 디자인은 무엇보다 가구와 오브제가 매력적인 조화를 이루었고, 이를 칼이 그림으로 그려내며 점차 유명해졌습니다. 곧 그들의 집은 아르 누보 스타일과 직물 디자인으로 인해 그 구역의 랜드마크가 되었습니다.
그의 작품은 1890년대에 색 재현 기술 발달로 인해 더욱 인기가 많아졌습니다. 스웨덴의 출판사 중 하나인 보니에는 라르손의 수채화 색상을 재현한 책을 출판해 베스트셀러가 되기도 했습니다. 예술계에서 러브콜을 받던 칼 라르손은 드디어 스톡홀름 오페라의 홍보를 위한 대형 프레스코화 제작 의뢰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예정과 달리 스웨덴 국립 미술관 위원회는 프레스코화가 아닌 노르웨이의 전설을 전시했고 중앙 계단 홀에 설치하려던 라르손의 ≪한겨울의 희생 Midwinter sacrifice≫의 설치를 거부했습니다. 라르손은 이 작품에 헌신을 다했고 자신의 최고의 걸작으로 여겼기 때문에, 위원회의 선택으로 크게 실망했습니다. 하지만 결국 8년 뒤, 그의 작품은 미술관에 전시되었고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자연을 호흡할 수 있는 전원 속 집이야말로 예술가들의 안식처가 아닐까. 시끄러운 도시로부터 벗어나 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더할 수 없는 행복을 느낀다." - 칼 라르손
집을 둘러싼 관계와 환경에서 행복을 찾을 때 좋은 삶이 된다고 합니다. 당신을 행복하게 하는 집의 요소는 무엇인가요? 가까운 곳에서 행복을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 아트레터란?
예술을 통해 영감을 얻고 내면의 성찰을 바라며 아트레터는 시작되었습니다. 마음을 풍요롭게 만드는 아트 스토리와 미감을 높여줄 예술 작품을 '아트램프'가 제공합니다.
사회적 가치를 위한 언론 소셜밸류 (Social Value)'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