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망각의 동물이기에 앞으로도 계속 글을 써나갈 것입니다.

[저는 망각의 동물입니다] 저자 김대일(글) 김희은(삽화)

김미진 기자

rlaalwls@naver.com | 2020-03-05 15:40:00

책 소개



<저는 망각의 동물입니다>는 김대일 작가의 에세이다.


책은 김대일 작가의 일기와 단상을 모아 엮었으며 김희은 작가가 삽화 작업에 참여했다.


김대일 작가는 책을 집필하면서, 글을 쓴다는 것,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지만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은 아니라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다고 한다.


그는 말한다.


"저는 비록 '누구나' 편에 속한 사람이지만 제가 느낀 감정과 일상의 것들을 표현하고자 나름의 노력을 했습니다. 어떨지는 당신의 판단에 맡기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샵 메이커즈



저자 소개



저자: 김대일(글), 김희은(그림)





목차



총 78페이지





본문



망각이 발현되기 위해 필요한 요소가 있다면


맹세코 그건 '허기'다.


돌아서면 배고프고 돌아서면 배고프다.



- '허기' 중에서 -




어제 몸무게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참담.



살도 찌고 내장지방도 늘어나고 체지방도 늘었고 엉망진창이었다.



너무 화들짝 놀라 어젯밤에 곧바로 운동을 했다.


운동을 하면서 다짐했다.



내일부터는


눈을 뜨는 순간 개구리처럼 튀어 올라 하루를 시작하리라.



-



아침이 밝았지만 그러지 않았다.



아···.


난 어쩔 수 없는 인간인가 보다···.



더 이상 내가 싫어지면 안 될 것 같아 뭉그적거림을 최소화했고


평소보다 조금 일찍 침대를 빠져나왔다.



그래도 양심은 있나 보다.



긴 휴일이 끝난 다음 날은


언제나 그렇듯 잔일도 많고 해야 할 일도 평소보다 많다.



덕분에 오랜만에 보람찬 느낌을 획득하였다.



"그래, 나는 그래도 양심은 있는 사람이야!


비록,


살이 조금 찌고 아침에 조금 뭉그적거렸지만 오늘 열심히 살았잖아."



이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내가 너무 미워질 것 같다.



- '무한 반복' 중에서 -




나도 나를 모르는데 어떻게 너를 알 수 있겠어요.


너의 마음 헤아렸던 것은 경험에서 나온 추측일 뿐이에요.


미안하지만


너를 잘 알아서 그런 게 아니에요


나도 모르는 나를 너무 믿지도 의지하지도 말아주세요.


이런 내 마음을 이해해주세요.


너는 누구보다 나를 잘 알잖아요.



- '자주 하는 실수' 중에서 -




온도가 낮은 것도 아닌데 춥다


봄이 빨리 왔으면 좋겠다.



겨울의 시작부터 이런 말을 했던 것 같다.


이번 겨울이 끝나고


새로운 겨울이 찾아올 때도 이 말을 하고 있겠지···.



겨울의 온도든 봄의 온도를 하고 있는 겨울이든


겨울에는 늘 이런 말을 할 것 같다.



봄이 빨리 왔으면 좋겠다.



- '겨울의 어느 날' 중에서 -




나는 똥인지 된장인지 먹어봐야 안다.



자세히 보면 다르다는 걸 알면서 꼭 먹어본다.



후회를 하지만 이미 늦었다.


후회의 수습을 위해 상당한 노력과 시간을


들여야 겨우 원래의 상태가 된다.



그러고 나면 어김없이


내 앞에는 새로운 유형의 똥이 등장한다.



이 똥은 왠지 달라 보인다.



그래서 결국 또···.



-



이런 식으로 항상 같은 실수를 반복한다.



반복된 실수로 이루어진 인생이지만 과정을 들여다보고


떠올려보니 그리 나쁘기만 했던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



그래도 다음번에는 안 먹어야지.



- '실수가 아닐지도' 중에서 -




나같이 귀가 가볍고 얇은 유형의 사람에게는


단어 하나가 많은 것을 바꾸기도 한다.



'극혐'이라는 말을 모르고 살았을 때는


'싫다' 또는 '너무 싫다' 이 정도의 표현을 사용했는데



'극혐'이라는 말이 등장하고 난 이후에


이 표현이 싫다고 말하면서도 어느샌가 나도 쓰고 있었다.



싫어하는 대상 그것 자체가 가지고 있는 혹은


내 속사람이 그 대상을 싫다고 느끼는 감정의 질량은


이미 정해져 있는데 속에 있는 것을 밖으로 꺼내면서


질량의 크기는 분명 바뀌는 것 같다.



그것을 꺼내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표현이


예전에는 '싫다'였고 지금은 '극혐'이다.



'극혐'이라는 말을 쓰면서부터


싫어하던 것들이 더 싫어지기 시작하는 느낌이다.



속을 비우고 천천히 돌이켜보면 단어가 주는 어감 때문에


더 과격해지고 필요 이상의 싫음 에너지를 발생했던 것이다.



바르고 고운 말을 쓰는 것은 매우 중요한 것이 틀림없다.



그래서 나는 '극혐'이라는 말을 '극혐'하기로 했다.



- '극혐' 중에서 -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