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증시, 국채금리-유가 안정에도 나스닥-S&P-다우 혼조세

엔비디아 0.6%, 애플 0.6%, 마이크로소프트 0.5%, AMD 1.1%,
구글의 알파벳 0.1%, 넷플릭스 0.4% 상승
테슬라는 0.7%, 아마존닷컴 0.4%, 메타 0.1% 하락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3-11-08 23:54:08

▲미국 뉴욕증시가 8일(현지시간) 혼조 장세를 펼치고 있다. 사진은 연방준비제도 청사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뉴욕증시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향후 정책 행보를 주시하면서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8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오전 10시 16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7.90포인트(0.14%) 오른 34,200.50을 기록 중이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01포인트(0.07%) 상승한 4,381.39를,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8.32포인트(0.06%) 하락한 13,631.54를 나타냈다.

 

앞서 오전 9시 52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6포인트(0.20%) 상승한 34,219를 기록하고 있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9포인트(0.21%) 상승한 4,387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28포인트(0.21%) 오른 13,668을 나타내고 있었다. 

 

주요 종목으로는 엔비디아가 0.6%, 애플이 0.6%, 마이크로소프트 0.5%, AMD 1.1%, 구글의 알파벳이 0.1%, 넷플릭스는 0.4% 상승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 테슬라는 0.7%, 아마존닷컴 0.4%, 메타가 0.1% 하락하고 있었다.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장 초반 안정 국면을 보이고 있다. 현지시간 오전 9시 3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15%포인트(1.5bp) 하락한 4.556%를 나타내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12%포인트(1.2bp) 상승한 4.93%를 기록하고 있다. 

 

국제 유가는 8일(현지시간) 오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2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이 전장보다 0.90달러(1.16%) 하락한 배럴당 76.47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아울러 북해산 원유인 브렌트유는 8일 오후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2024년 1월 인도분이 전장보다 배럴당 0.77달러(0.94%) 하락한 80.84달러에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국 뉴욕증시는 이날 예정된 재무부의 10년물 국채 입찰을 주목하고 있다. 수요가 탄탄할 경우 금리는 하락하겠지만, 공급 물량을 받아줄 수요가 없을 경우 금리는 오를 수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연설에 나섰으나 통화정책과 관련해서는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았다. 파월 의장은 '연준 이사회 연구 및 통계 100주년' 개막사에서 연준 경제학자들에게 경제는 유연하고 역동적이며 때로는 예측할 수 없는 충격에 직면한다며 모델 밖에서 생각할 줄 알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리사 쿡 연준 이사는 러시아, 중동, 중국을 포함한 글로벌 지정학적 긴장이 악화하면 세계 시장에 광범위한 부정적 파급효과를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통화정책과 관련해서는 별다른 언급을 내놓지 않았다.

 

팩트셋에 따르면 지금까지 S&P500지수에 상장된 81%의 기업이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이 중 82%가 예상치를 웃도는 주당순이익(EPS)을 발표했다. 이는 5년 평균인 77%를 웃돈다. 분기 EPS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 올라 2022년 3분기 이후 처음으로 증가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된다.

 

분기 매출은 62%의 기업이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해 5년 평균인 68%를 밑돌았다. 애널리스트들의 4분기 EPS 전망치도 3.9%로 9월 말에 집계한 8.1%에서 크게 낮아진 상태다. 매출이 예상치를 웃도는 기업이 줄고, 4분기 이익 전망치도 이전보다 낮아지고 있는 것은 경기 둔화로 수요가 둔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시장이 연준의 방향 전환을 가격에 반영하고 있으나 이전에도 비슷한 기대가 무너진 바 있다는 점에서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하그리브스 랜스다운의 대런 네이선 주식 리서치 대표는 지난주 연준의 성명 이후 차입 비용이 급격히 하락하면서 주가 상승의 원동력이 됐고, 경제 지표의 둔화는 금리인하가 곧 눈앞에 다가올 것이라는 기대를 강화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투자자들이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와 경제에 쌓이는 금융 스트레스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고 있는 상황이라 증시 랠리가 잠깐 멈춰서는 것도 당연하다"라고 말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