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성·김상조, '디스커버리' 일부 손실 보존 경찰심도 조사

장대사 동생 펀드운영사 디스커버리 펀드상환하지 못한 잔액은 모두 2천 562 억원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와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를 받는 장 대표를 소환

하재화 기자

tacit2005@hanmail.net | 2022-02-10 21:55:03

▲장하성 주중대사/사진=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하재화 기자] 장하성 주중대사의 동생이 운영하다 대규모 부실을 초래한 '디스커버리 펀드'에 대한 장대사의 손실보전 여부가 주요 사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장하성 주중대사 부부와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이 환매 중단 사태가 발생한 사모펀드 '디스커버리 펀드' 투자로 상당액을 손실한 정황이 경찰 수사 과정에서 확인됐다고 연합뉴스가 10일 보도했다.

 

경찰은 이들이 다른 투자자들과 달리 투자액을 일부라도 회수했는지, 그 경우 장 대사의 동생인 장하원씨가 대표로 있는 이 펀드 운용사 디스커버리자산운용 측과 미리 정보 교류가 있었는지 등을 확인하는 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경찰은 또 채이배 전 바른미래당 의원(현 민주당 공정시장위 공동위원장)도 이 펀드에 투자한 사실을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투자자 중 정치권 유력 인사들이 추가로 확인될지도 관심사다.

 

10 일 연합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디스커버리 펀드 환매 중단'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가 지난해 7월 디스커버리 사무실을 압수 수색해 확보한 투자자 실명·투자액 파일에는 장 대사 부부가  2017 년 7월께 약  60 억원을 펀드에 투자했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장 대사는 청와대 정책실장으로 부임한 지 2개월 뒤였다.

 

또 비슷한 시기 공정거래위원장으로 있던 김 전 실장이 4억여원을 투자했으며 장 대사가 몸담았던 고려대 교수들도 투자금을 낸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이후 디스커버리 펀드는 미국 현지 자산운용사가 법정관리를 받게 되고, 자산 운용사의 불완전 판매와 부실 운용 등 문제로 환매가 중단돼 개인·법인 투자자들이 수천억 원대의 피해를 봤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4월 말 기준 환매 중단으로 은행 등이 상환하지 못한 잔액은 모두 2천 562 억원으로 집계됐다.

 

경찰은 다른 피해자들과 마찬가지로 장 대사 부부와 김 전 실장도 환매 중단 여파로 투자금 상당액을 잃은 것으로 보고 있다. 채 전 의원도 투자금 일부는 손실을 본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이들이 다른 일반 투자자들과 달리 나머지 투자액을 회수했는지, 디스커버리 측에서 손실 위험에 관한 언질을 받았는지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대다수의 피해자는 중도 환매가 불가능하고 만기도 2∼3년으로 긴 폐쇄형 펀드에 투자했으나, 경찰은 장 대사 부부와 김 전 실장 등이 만기가 수개월에 그치며 중간에도 자유롭게 입출금을 할 수 있는 개방형 펀드에 투자했을 가능성까지 따져보면서 사실관계를 확인 중으로 전해졌다.


▲김상조 전 정책실장/사진=연합뉴스 제공

 

이와 관련, '기업은행 디스커버리펀드 사기피해대책위원회'를 대리하는 신장식 변호사는 "장 대사 부부 등이 투자한 상품이 개방형인지, 폐쇄형인지는 문제의 본질이 아니라 실제 투자금 회수가 있었는지와 그 시기가 먼저 확인돼야 한다"며 "손실을 예상하거나 이미 손해를 본 상태에서 투자금을 일부라도 회수했는지가 관건"이라고 했다.

전날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와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를 받는 장 대표를 소환한 경찰은 그가 펀드의 위험 발생 가능성을 감추고 투자를 받았는지와 부실 운용 여부 등을 집중적으로 추궁한 것으로 전해졌다.

 

동생의 사모 펀드에 가입해 환매 관련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에 장 대사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부실 사고가 발생한 펀드 투자와 관련해, 사고 이후 일체의 환매를 신청한 사실이 없고, 따라서 환매금을 받은 사실도 없었다"고 해명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