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학 쿠쿠 대표, 16일 국감 증인 출석해 대리점주들 억울함 풀어줄까
11명의 대리점주들에게 계약 갱신 거절 통보
법원은 쿠쿠 편들었지만 보복성 행위 논란 여전
‘갑질’`불공정거래 여부 등 따져 물을 듯
소민영 기자
somy@socialvalue.kr | 2023-10-12 10:55:19
[소셜밸류=소민영 기자] 지난 10일부터 시작된 ‘2023 국회 국정감사’로 기업들은 어수선한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그런 가운데 올해는 쿠쿠전자의 구본학 대표가 국회에 출석할 수 있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12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쿠쿠전자 구본학 대표가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돼 오는 16일 국감에 참석해 대리점 인접출점 및 보복성 계약갱신거절과 관련한 불공정행위에 대해 경위를 답변할 예정이다.
구본학 대표는 국감장에서 의원들이 따져 묻는 질문에 상황 모면에 그칠지 아니면 사건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답변을 내놓을지 이목이 집중된다.
쿠쿠는 지난 2020년에도 점주들을 상대로 갑질했다는 정황이 포착되기도 했다. 본사가 진행하는 서비스에 불만을 표시하는 점주들에게 ‘놈’, ‘새X’ 등으로 지칭하거나 계약해지 대상이라고 위협하는 등 점주들을 협박하면서 문제가 불거지기도 했다.
당시 점주들에게 사과한 것 말고는 상황 해결에 대해 정확하게 알려진 바 없이 유야무야 넘어갔다.
그래서일까. 이 같은 일이 올해 초 또 일어났다. 쿠쿠가 점주협의회 소속 대리점주들에게 보복성으로 계약 갱신을 하지 않았다는 주장이 제기된 것이다. 쿠쿠는 최소 16년에서 최대 26년 동안 쿠쿠 대리점을 운영해 온 11명의 대리점주들에게 계약 갱신 거절 통보를 한 것이다.
게다가 문을 닫은 11개 지점 가운데 9곳 주변에 쿠쿠 직영점이 들어서서 영업을 진행하고 있어 논란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11명의 쿠쿠 대리점주들은 쿠쿠점주협의회 공동회장 및 부회장, 총무, 감사, 회원 등으로 적극적으로 활동한 것으로 밝혀지면서 쿠쿠의 보복성 조치라고 볼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대리점주들은 쿠쿠의 행실이 보복성이 있다며 울산지법에 지위보전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지만 법원은 이를 기각했다.
결국 회사의 계약 해지 통보를 받은 점주들은 비싼 인테리어를 해놓고도 문을 닫아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일부 점주들은 상가 임대 기간이 남아 공실 상태에서 점포 임대료만 나가고 있는 억울한 상황에 놓인 것으로 알려진다.
점주들의 억울한 상황은 소송에서 진 비용까지 일부 부담해야 하는 상황까지 겹쳤다. 사측에서 점주들에게 소송비를 청구했기 때문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윤영덕 의원은 이 같은 사안에 대해 쿠쿠 본사의 ‘대리점 갑질의 종합세트’라고 질타했으며, 보복성 행위가 명백히 있다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주위에 직영점을 출점해 장사를 하지 못하게 한 것은 힘없는 점주들의 밥줄을 끊는 행위와 같다”며 “다시는 벌어져서는 안될 일”이라고 질타했다.
윤 의원실은 구본학 대표에 대해 국감 증인 채택을 통해 대리점 집단 계약 해지 사건에 ‘갑질’ 여부와 불공정거래가 있었는지에 대해 철저하게 사실 관계를 따져 물을 예정이다. 또한 불공정거래 신고 이후에 진행상황에 대해서도 점검에 나설 계획이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