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구, 이태원 참사에 인적·물적 지원 총동원…올해까지 애도기간 선포
소민영 기자
somy@socialvalue.kr | 2022-10-31 16:38:24
[소셜밸류=소민영 기자] 서울 용산구는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빠른 수습을 위해 행정력을 동원하고 있으며 구 차원에서 의료 및 장례 지원 서비스 등 실질적인 지원에 나서고 있다.
서울 용산구는 지난 27일 ‘핼러윈 데이’ 대비 긴급대책회의를 개최하고, 부서별 추진사항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구는 핼러윈 데이에 앞서 통행에 불편을 주는 지장물, 볼라드, 난간 등 이태원일대 시설물 현장점검 및 지하철 환풍구에 안전띠 설치, 역사출입구 안전요원 추가배치 협조요청 등 안전을 먼저 챙기고 365청결기동대 운영 등 쾌적한 거리환경 조성은 물론 소음민원 대비, 불법주정차 단속, 생활방역까지 사전 준비를 마쳤다.
하지만 이태원지구촌축제와는 달리 핼러윈 데이는 주최가 없이 자발적으로 이뤄져 관리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는 입장을 내놓았다.
구는 사고가 발생한 29일 밤 11시 긴급상황실을 설치하고 구청장과 간부 공무원 25명이 참석한 가운데 비상 대책회의를 열었다. 30일 0시20분부터는 재난안전대책본부 및 재난현장 통합지원본부를 가동했다.
박희영 용산구청장은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만이 문제해결의 지름길”이라며 “사고 당일, 빠른 구조를 통해 한 명이라도 더 구해야 한다는 생각에 현장에서 하루를 보냈다”고 언급했다.
30일 새벽 5시30분부터 한남동 주민센터에 실종자 접수처를 설치하고 바로 운영에 들어갔다. 구 직원 23명을 교대로 투입해 전화접수 4346건 등 총 4442건의 실종신고(오전 09시 기준)를 접수를 받았다.
구 차원에서는 올해 말인 12월 31일까지 용산구 애도기간으로 선언했다. 이 기간 동 통장 워크숍, 자치회관 프로그램 등 불요불급한 행사와 단체활동을 중단키로 했다.
희생된 분들을 위한 추모 공간으로 녹사평역 광장에 합동분향소를 설치했다. 합동분향소는 이날부터 11월5일까지 운영한다. 1일 24시간 운영하며 근무자 12명을 배치했다. 이 기간 합동분향소에 별도 부스를 설치, 전문 심리상담가 2명이 상주하며 유족들의 정서적 치유를 돕는다.
30일 용산구가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됨에 따라 중앙정부, 서울시 등 유관기관과 긴밀히 공조하며 사망자 유족과 부상자 등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을 이어간다. 부상자와 사망자 유가족을 위한 신속 지원책으로 1:1 매칭을 통해 의료지원, 장례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