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글로벌 성장률 1%p 낮출 것"
영국 싱크탱크 국립경제사회연구소, 전세계 GDP 1조달러 감소
공급망 위기 심화시켜 전세계 물가상승률도 3%p 끌어올릴 것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2-03-03 16:42:33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국제 원유값을 비롯한 주요 원자재값 급등세를 불러와 글로벌 경제가 상당 폭 위축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영국 싱크탱크인 국립경제사회연구소(NIESR)는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이 약 1조달러(약 1204조원) 줄고 성장률이 1%포인트가량 낮아질 수 있다고 가 2일(현지시간) 전망했다.
블룸버그 통신 보도에 따르면 국립경제사회연구소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공급망 위기를 심화시켜 올해 전 세계 물가상승률을 3%포인트 정도 끌어올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아울러 연구소는 공급 문제가 성장 둔화와 인플레이션을 불러와 전 세계 GDP를 1%포인트가량 깎아 먹을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각종 에너지·원자재의 주요 공급원인 러시아·우크라이나와 경제적으로 밀접한 유럽 지역이 받는 타격이 다른 지역에 비해 클 것으로 추정했다.
이어 유럽 국가들이 피란민 수용과 군비 확장에 더 많은 예산을 쓸 수밖에 없을 것이라면서 각국 중앙은행들은 이번 전쟁의 영향을 평가하면서 신중하게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소는 이번 전쟁이 코로나19로 충격을 받았던 각국 경제에 또다시 주름살을 드리울 것이라면서 공급망이 또다시 피해를 입고 각국의 통화·재정정책도 심각한 압박을 받게 될 것으로 우려했다.
러시아는 원유·천연가스 가격 상승이 서방 제재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일부 상쇄하면서 경기침체에 빠지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지만 루블화 가치 붕괴가 인플레이션을 최대 20%까지 끌어올리면서 2023년 러시아 GDP 성장률은 이전 전망치보다 2.6%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연구소는 내다봤다.
연구소는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과 영국의 경제성장률도 이전 전망치보다 1.5%포인트 정도 하락할 것으로 분석했다. 영국의 물가상승률은 올해 평균 7%를 기록한 뒤 내년에는 4.4% 정도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