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외국인 관광객 340만명 방한, 코로나19 이전의 88.6% 회복
오타니 효과로 3월 일본인 방문 2배, 소비는 2.5배 증가
일본·중국인들 5월 연휴에 가고 싶은 여행지로 '한국' 인기
미주‧유럽 등 가파른 성장세…올 2천만명 목표 달성할지 관심
황인석 기자
alexh2@nate.com | 2024-04-29 16:24:33
[소셜밸류=황인석 기자] 올해 들어 3월까지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약 340만명에 달해 코로나19 이후 분기 단위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특히 3월 방한 관광객은 약 150만명으로 코로나19 이후 월별 방문객 규모로도 최대를 나타냈다. 이 가운데 3월 4주 1주일 동안 방한한 관광객은 약 33만명으로 2019년 대비 회복률 100.2%를 보여 코로나19 이전의 규모를 처음으로 완전히 회복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외국인 관광객 방한 현황을 발표했다.
문체부에 따르면 3월은 봄이라는 계절적인 요인에다 일본과 미주, 유럽의 봄방학 기간으로 방한 여행이 활발해지는 시기이다. 여기에다 올 3월에는 서울에서 열린 미국 메이저리그 개막식 등 국제 행사 개최에 따라 일본, 미국 등 방한객이 확대된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올해 3월 방한 관광객은 149만2000명으로 2019년 같은 기간에 비해 97.1% 회복해 코로나19 이후 월별 회복률 최고치를 돌파했다. 2024년 1분기 방한 관광객은 340만3000명으로 2019년 1분기(384만명) 대비 88.6% 회복해 코로나19 이후 가장 높은 분기별 회복률을 기록했다.
특히 10대 주요 방한 시장 가운데 절반이 이미 2019년 같은 기간 대비 방한 규모를 넘어섰다. 대만(30만6000명, 108.8%), 미국(24만 4000명, 119.3%), 베트남(11만명, 100.4%), 싱가포르(6만8000명, 163.3%), 필리핀(10만8000명, 109.3%) 등은 회복률이 100% 이상으로 이미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넘어 성장하고 있다. 10대 주요 방한 시장은 중국, 일본, 미국, 대만, 홍콩, 태국,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를 말한다.
중국‧일본 등 성숙시장의 회복도 두드러진다. 중국시장은 101만5000명이 방한하며 1분기 방한 관광객 100만명을 돌파했다. 중국은 작년 2월에야 상대적으로 늦게 해외여행을 재개한 후 방한객이 2023년에 201만명을 기록한 것에 비교하면 고무적인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또 지난해 방한 시장 1위를 기록한 일본 시장은 1분기 66만6000명이 방한했다. 특히 2024년 3월 일본인 관광객은 34만명으로 오타니 쇼헤이 선수의 국내 메이저리그 개막전 출전과 봄방학을 맞이해 2월 18만명 대비 2배 가까이 방문객이 증가했다.
메이저리그 서울시리즈 개막 전 스페셜 게임을 앞둔 지난 3월 16일에는 하루 일본인 방한객 1만3000명을 기록했다. 이는 1분기 평균 하루 일본인 방한객 규모인 7300명의 2배 가까운 규모다.
또한 ‘한국관광 데이터랩’의 신한카드 외래객 카드 소비 데이터에 따르면 경기가 열린 구로구에서 2월 외국인 관광객 소비액이 7억6000만원에서 3월 18억9000만 원으로 약 2.5배 확대돼 스포츠 등 대형행사의 관광산업 파급효과를 보여주었다.
미주‧유럽 등 신흥시장은 가장 가파른 성장세를 나타냈다. 24만4000명이 방한한 미국 외에도 호주는 5만1000명이 방한해 2019년 1분기 대비 146% 회복했다. 프랑스는 2만7000명이 방한해 142% 회복, 독일은 3만2000명이 방한해 130% 회복을 기록했다. 홍보지점을 설치해 새로운 방한 관광시장을 개척하고 있는 이탈리아와 스웨덴의 방한 관광객은 각각 2023년 1분기 대비 42%, 41% 성장했다.
아울러 ‘한국관광 데이터랩’의 KT 외래객 방문자 이동 데이터를 활용해 체류 기간을 분석 결과 미국인 관광객은 한국에 12~14일 머무르는 등 아시아 근거리 방한객의 평균 체류 기간(3~4일)보다 3~4배 이상 길게 한국을 여행했다. 일반적으로 장거리 여행객일수록 더 오래 머물고 더 많이 소비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지역 방문 시 중국인은 제주도, 미국인은 경기도 선호가 두드러졌다. 이는 중국인의 제주도 무비자 입국과 미국인의 비무장지대(DMZ) 등 평화관광에 대한 높은 관심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방한 외래객은 앞으로 일본 골든위크(4월 27일~5월 6일)와 중국 노동절(5월 1~5일) 기간 특수를 보이는 등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총 10일의 징검다리 휴일 기간 한국을 찾는 일본인은 하루 1만명, 총 10만명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일본 여행사 HIS의 집계에 따르면 크루즈 운항 등으로 일본인 관광객의 제주도 예약이 전년보다 1502.1% 증가해 제주도는 해외여행 목적지 중 전년 대비 성장률 1위로 나타났다.
중국 노동절 기간 한국을 찾는 중국인은 하루 1만6000명, 총 8만명 내외로 예상된다. 항공편, 크루즈, 페리의 예약률이 모두 호조세로 개별 관광객의 비자 발급량 역시 2019년 수치를 넘겨 향후 방한객 성장을 예측케 했다.
문체부는 방한 관광의 회복을 넘어 도약으로 이끌기 위해 방한시장 다변화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중국·일본 등 성숙시장을 대상으로 주요 방한층인 2030여성 외에도 연령대 다변화와 성별 균형, 스포츠관광·교육여행 등 관광 콘텐츠 다변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빠른 성장세인 미주·유럽 등 신흥시장을 대상으로는 현지 밀착 마케팅을 강화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올해 외국인 관광객 유치 목표 2000만명 달성 여부는 5월 중국과 일본인 관광객 방문 현황과 이후 외국인 관광객의 증가 추이에 달렸다. 침체된 내수경기를 살릴 수 있는 주요한 방안 중 하나인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