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 '블랙먼데이' 코스피 8.77%↓ 폭락 ···글로벌 악재에 패닉
외국인 매도 주도...삼성전자 10.3%↓
엔화 강세, 미국 경기침체 논란, 중동 전쟁 확대 전망 영향
황동현 기자
robert30@naver.com | 2024-08-05 16:16:53
[소셜밸류=황동현 기자] 월요일 국내증시는 미국 경기침체와 엔화강세, 중동전쟁 확대 등 글로벌 악재에 민감히 반응하며 코스피가 8.7%, 코스닥이 11.30% 폭락 마감했다. 외국인들이 매도를 주도하며 코스피는 2400선으로 주저앉았다.
5일 KOSPI는 234.64(8.77%) 하락한 2,441.55, 코스닥은 88.05(11.30%) 내린 691.28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오후 2시 14분께 8% 넘게 내리며 '서킷브레이커'가 발동, 거래가 20분간 일시 중단되기도 했다. 국내 증시에서 서킷브레이커 발동은 지난 2020년 3월 19일 이후 5년 만이다. 당시에도 코스피·코스닥 시장에 서킷브레이커가 동시에 발동됐다.
유가증권 시장에서 외국인은 1조 5246억원을 순매도했고 기관도 2694억원을 순매도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은 일제히 약세를 면치 못하며 상위 20대 기업 주가가 모두 하락했다. 시총 1위 삼성전자는 -10.30%, SK하이닉스 -9.87%, LG에너지솔루션 -4.17%, 삼성바이오 -2.31%, 현대차 -8.20%, 셀트리온 -5.73%, 기아 -10.08%, KB금융 -7.69% 등을 기록했다. 반도체주들의 약세가 두드러졌다.
전날 미국 뉴욕증시는 경제 성장 둔화에 대한 불안감이 경기 침체 공포로 확산하며 안전자산인 미국 국채 가격이 급등(국채 금리 급락)하는 대신 3대 지수가 급락하는 장세를 이틀째 연출했다. 미국 노동부 통계는 고용 지수가 급격히 나빠지고 있음을 시사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610.71포인트(1.51%) 하락한 39,737.26을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00.12포인트(1.84%) 떨어진 5,346.56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장보다 417.98포인트(2.43%) 급락한 16,776.16을 나타내며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251.83포인트(5.18%) 급락한 4,607.76을 가리키며 마감했다. 엔비디아가 1.7% 하락한 것을 비롯해 아마존닷컴 8.7%, 테슬라 4.2%, 메타 1.9%, 마이크로소프트 2.0%, AMD 0.03%, 구글의 알파벳 2.4%, 코인베이스 3.8%, ARM이 6.6%, 넷플릭스가 1.7% 하락하며 마감했다. 미국 국채금리는 전날에 이어 이틀 연속 급락했다.
일본 엔화의 급격한 상승도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엔화 강세가 이어지는 동시에 엔화로 투자한 자산가치가 하락할 경우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저렴한 엔화로 사들인 해외 자산을 되파는 현상)이 본격화하면서 패닉셀(과매도)을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BOJ는 최근 일본의 임금인상과 물가상승 등의 요인을 반영해 지난달 31일 금융정책결정회의를 열고 정책금리를 기존 0~0.1%에서 0.25%로 인상했다. 최근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의 과도한 매도 역시 엔화 강세와 엔캐리 청산의 영향인 것으로 증권가에서는 추정하고 있다
이스라엘과 이란의 전쟁 가능성도 투자심리에 악영향을 미쳤다. 지난달 31일 이란 수도 테헤란에서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최고 정치 지도자 이스마일 하니예가 암살당했다. 이란은 공격 주체로 이스라엘을 지목해 '피의 보복'을 예고했으며, 무력 충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날 코스닥도 88.05(-11.30%) 내린 691.28에 거래를 마쳤다.
개인들이 약세를 주도한 가운데 홀로 6783억원을 순매도했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5445억원과 1175억원을 순매수했다.
시총 상위종목별로는 에코프로비엠 -11.30%, 알테오젠 -11.36%, 에코프로 -11.07%, HLB -4.69%, 삼천당제약 -14.99%, 엔켐 -11.03%, 셀트리온제약 -13.72%, 클래시스 -4.16%, 리가켐바이오 -12.20% 등 대부분 하락했다.
원·달러 환율은 급등해 오후 3시 20분경 서울 외환시장에서 전날보다 12.5원 급등한 1374.00에 거래중이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