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태백·석포 주민들, “영풍 석포제련소 이전·폐쇄 논의 즉각 중단”
경북도청서 집회 열고 강력 반발
최연돈 기자
cancin@naver.com | 2025-11-04 15:17:16
[소셜밸류=최연돈 기자] 경북 봉화군과 석포면, 인근 강원도 태백시 주민들이 영풍 석포제련소의 이전 또는 폐쇄 논의에 반대하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봉화·태백·석포 생존권 사수 공동투쟁위원회(공투위)는 4일 경북도청 앞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고 “석포제련소 이전·폐쇄 논의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공투위는 성명서를 통해 “경상북도와 정부가 일부 환경단체의 일방적인 주장에 치우쳐 제련소 이전과 폐쇄를 논의하고 있다”며 “이는 지역의 생존을 송두리째 위협하는 무책임한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영풍 석포제련소가 1970년 설립된 이후 반세기 넘게 대한민국 산업화를 뒷받침해온 핵심 기반시설이라며, “제련소는 지역 주민들의 삶을 지탱해온 생명줄”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제련소가 사라질 경우 지역 경제와 공동체가 붕괴되고 수많은 가정이 생존 위기에 내몰릴 것”이라고 우려했다.
공투위는 제련소의 환경 개선 노력을 강조하며 “석포제련소는 2019년부터 매년 약 1,000억 원을 투자해 폐수 무방류 시스템과 오염 확산 방지시설을 구축하는 등 환경 개선에 총력을 기울여 왔다”며 “현재 수질 역시 환경기준을 충족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최근 제련소 인근 하천에서 수달이 서식하는 것이 확인됐다”며 “이는 환경 개선의 가시적 성과로, 보다 면밀한 과학적 검증과 균형 잡힌 평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주민 의견이 논의 과정에서 철저히 배제되고 있다는 점도 문제 삼았다.
“주민 생존권이 걸린 중대한 사안임에도 정작 당사자인 주민들은 논의에서 배제돼 있다”며 “정부는 아픈 곳을 치유하는 의사가 되어야지, 칼을 먼저 드는 존재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공투위는 “경상북도는 주민 생존권을 짓밟는 이전·폐쇄 논의를 즉각 중단하고, 제련소·지역사회·주민이 함께 상생할 수 있는 해법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공투위 관계자는 “봉화군민과 태백시민은 제련소와 운명을 함께하며, 일방적인 희생을 결코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며 “끝까지 단결해 투쟁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