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람상조, 반려동물·생체보석으로 상조 문화 혁신 주도
전통 상조의 틀 깨고 ‘소비자 맞춤형’으로 확장
소민영 기자
somy@socialvalue.kr | 2025-07-19 09:00:00
[소셜밸류=소민영 기자] 과거에는 상조가 ‘무겁고 어두운 서비스’로 여겨졌지만, 최근에는 고객과의 소통을 통해 더욱 친근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잘 보여주는 기업 보람상조는 상조 서비스의 경계를 허물며 소비자 친화적인 방향으로 변화 중이다. 전환형 상품을 다양하게 선보이고, 고객 맞춤형 서비스 라인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기관·단체와의 제휴를 통해 조직 기반의 고객 접점도 넓히고 있다.
특히 일반 소비자 대상 서비스 혁신이 눈에 띈다. 보람상조는 반려동물 전문 상조 브랜드 ‘스카이펫’을 출시해 반려동물 상조라는 새로운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또한 사람의 생체 원소를 합성해 사파이어 형태로 제작한 생체보석 브랜드 ‘비아젬’을 통해 단순한 장례를 넘어, 사후에도 감성을 담은 특별한 상조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는 장례를 ‘작별’이 아닌 ‘새로운 시작’으로 바라보게 하는 의식의 전환이라는 점에서 의미 있는 혁신으로 평가된다.
보람그룹은 크루즈 전문기업 ‘두원크루즈페리’, 글로벌 골프리조트 ‘아티타야’, 국내 대표 교육기업 ‘메가스터디교육’ 등과 제휴를 맺으며 상조를 넘어 ‘라이프케어’ 서비스 전반으로 확장을 예고한 바 있다. 서비스를 본격화하면 가입자는 본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장례 외에도 여행, 여가, 웨딩, 교육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소비자 선택권을 넓히는 동시에 상조가 일상과 더 가까워진 계기가 되고 있다.
조직, 단체 기반의 맞춤형 제휴도 활발하다. 보람그룹의 B2B 전문 계열사인 보람카네기는 한국지역아동센터연합회와의 협약을 통해 전국 700여 개 센터 종사자 및 가족에게 복지형 상조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 김해시공공기관노동조합협의회와의 협약을 통해 4개 공공기관 소속 800여 명의 임직원을 대상으로 고품격 장례상품을 지원하며 공공기관과의 협업도 확대 중이다.
이외에도 장애인복지단체(한국신체장애인복지회), 대학 동문 조직(대구대학교총동창회), 외식·급식업계(백년가·아라마크), 렌탈업계(현대렌탈서비스) 등 다양한 단체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조직 단위 고객군을 확보하고 있으며 전용 상품 설계와 혜택을 통해 실질적 만족도까지 끌어올리고 있다.
보람그룹은 이 같은 B2C, B2B 투트랙 전략을 통해 고객과의 심리적 거리를 좁히고 있다. 여기에 상조업의 본질인 ‘상부상조’ 정신도 서비스에 녹이고 있다. 생활체육 증진을 위한 ‘보람할렐루야 프로탁구단’ 운영, 재능기부와 자원순환 등 지역 기반 사회공헌 활동도 꾸준히 실천하며 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기업으로서의 면모를 알리고 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