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금융권 부실 리스크 확대…금감원, 충당금 적립 강화 주문

비은행권 연체율 9년 6개월 만에 최고치…건설·부동산업 직격탄
이복현 금감원장 '금융회사 건전성 강화해 자금 공급 위축 방지

소민영 기자

somy@socialvalue.kr | 2025-02-02 15:00:59

▲금융감독원/사진=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소민영 기자] 금융감독원이 지난해 결산을 앞두고 저축은행과 상호금융 등 2금융권의 건전성 점검을 강화하며 충당금 적립을 확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고금리 장기화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사태로 인해 2금융권의 부실 위험이 커지고 있는 상황을 반영한 조치다.


2일 금융당국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금감원은 최근 저축은행 20여 곳 중 자산 건전성 관리가 더 필요한 4곳을 선정해 현장점검을 실시했으며, 나머지 저축은행에 대해서는 경영진 면담을 진행했다. 또한 농협·신협 등 상호금융 단위조합 중에서도 건전성 관리가 필요한 일부 기관을 대상으로 현장검사를 진행했다.

금감원은 이번 점검을 통해 각 기관의 자산 건전성 분류의 적정성을 평가하고, 충당금이 부족할 경우 추가 적립을 요구하는 등 부실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금감원은 매년 결산을 앞두고 금융사의 자본 건전성과 충당금 적립 적정성을 점검하지만, 올해는 부동산 PF 부실 문제와 경기 침체로 인한 취약 차주의 상환 부담 증가가 맞물리면서 2금융권의 건전성 관리가 더욱 중요한 이슈로 떠올랐다. 금감원은 고정 이하로 분류된 자산이 많은 저축은행과 상호금융 기관들에 대해 기준보다 더 많은 충당금을 적립할 것을 주문하고 있으며, 필요 시 추가 협의도 진행할 계획이다.

2금융권의 부실 징후는 여러 지표에서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저축은행 79곳 중 36곳(45.6%)의 연체율이 10%를 넘어섰으며, 이는 1년 전(17.7%)보다 큰 폭으로 증가한 수치다. 또한 부실채권(NPL) 비율이 20%를 초과한 저축은행도 4곳에 달하는 등 자산 건전성 악화가 심화되고 있다.

비은행권의 건설·부동산업 대출 연체율도 지난해 3분기 기준 각각 8.94%, 6.85%를 기록하며 2015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 특히,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인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의 경우, 건설업과 부동산업이 각각 24.0%, 20.38%**에 달해 부동산 경기 침체의 영향을 직격으로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부동산 PF 사업장의 정리 및 재구조화 속도도 둔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9월 말까지 정리된 부동산 PF 규모는 1조 2천억 원 수준이었지만, 10월 말 2조 4천억 원, 11월 말 2조 9천억 원, 12월 16일 기준 3조 5천억 원으로 증가 폭이 둔화하는 추세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금융회사가 부실 대응 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결산 시 충분한 충당금을 적립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달 30일 금융상황 점검회의에서 "내수 부진과 부동산 침체에도 금융회사가 자금 공급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건전성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당국은 앞으로도 2금융권의 건전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필요 시 추가적인 감독 조치를 검토할 방침이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