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G·PMI, 앞으로 15년 '담배 연기 없는 미래' 당긴다...'릴' 글로벌 확장"
30일부터 2038년까지 15년 장기 파트너십 체결
이호영 기자
eesoar@naver.com | 2023-01-30 14:48:18
[소셜밸류=이호영 기자] 케이티앤지(KT&G)와 필립모리스 인터내셔널(PMI)은 앞으로 15년 동안 '담배 연기 없는 미래'를 함께 열어나간다. 바로 무연 제품인 전자 담배 '릴'의 해외 시장 확대를 통해서다.
KT&G와 필립모리스 인터내셔널은 3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전자 담배 '릴'의 해외 판매를 위한 제품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2020년 1월 이후 3년만에 '릴' 해외 시장 진출에 대한 기존 계약(3년)에 이어 계약을 새롭게 체결한 것이다. 계약 기간은 이날부터 2038년 1월 29일까지로 15년 장기 계약이다.
이에 따라 KT&G는 전자 담배를 PMI에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PMI는 이를 지속적으로 한국을 제외한 전 세계 국가에 판매할 수 있게 됐다.
이날 백복인 KT&G 대표는 "이번 협업으로 지난 11월 한국 시장에 출시한 릴 에이블을 비롯해 현재 개발 진행 중인 다양한 혁신 플랫폼에 PMI의 강력한 글로벌 유통(상업화) 인프라를 안정적으로 확보, 전 세계 흡연자에게 더 나은 대안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PMI 역시 KT&G와의 협업으로 '유해성 저감 제품(RRP)'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PMI가 지향하는 담배 연기 없는 미래를 더 빠르게 실현할 것"이라고 했다.
또 "앞서 계약을 통해 글로벌 시장과 소비자에 기반한 양사의 적극적인 시스템 공유와 마케팅 경쟁력, 운영 효율성 제고 노력 결과 제품을 출시한 많은 국가에서 점유율과 수익성 측면 의미 있는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야첵 올자크 PMI 대표는 "양사의 지속적인 협업이 소비자에게 좋은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며 "양사 계약에 따라 상업화하는 모든 제품이 PMI의 엄격한 과학 검증 기준과 출시국 규제 요건을 충족하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이번 계약은 여전한 10억명의 흡연자를 위한 양사의 공통된 약속을 명확히 하고 있다"며 "무연 제품은 궐련보다 잠재적으로 덜 유해하다. 저희는 흡연자가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무연 제품으로 전환하기를 바란다. 이 전환의 과정은 결코 혼자서는 갈 수 없는 길"이라고 했다.
또 "이번 계약은 사회 전반에 대한 양사의 약속, 협업의 힘을 보여준다"며 "양사가 함께 담배 연기 없는 미래를 만들어나가게 돼 기쁘다"고 했다.
야첵 올자크 대표는 "2020년 한국에서 첫 협업 계약을 체결했다. KT&G는 한국 시장 탑 플레이어로서 독보적이고 혁신적인 무연 제품 포트폴리오를 개발해왔다"며 "양사 포트폴리오 조합은 더 다양한 기술로 다양한 맛, 소비자 선호를 충족시킨다. 덕분에 더 많은 흡연자의 무연 제품 전환을 도울 수 있었다"고 했다.
이어 "이미 전 세계 2000만명 이상의 흡연자가 양사의 무연 제품을 선택했다"고도 했다.
PMI는 이번 계약을 통해 중저소득 국가 제품 공급도 기대하고 있다. 야첵 올자크 대표는 "KT&G 브랜드와 혁신 제품 파이프 라인에 지속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됐다. 이는 중저소득 국가 타깃 제품도 포함한다"고 했다.
한국도 성인 5명 중 1명이 담배 제품을 소비하고 있다. 이 가운데 85% 이상이 일반 담배 관련 제품이다. 담배 규제 조치와 금연 캠페인 등을 강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한국 내 관련 흡연자는 800만명이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계약 대상 제품은 KT&G 무연 제품 디바이스와 스틱 등 소모품 일체로 KT&G가 현재까지 국내 출시한 궐련형 전자 담배 '릴 솔리드' '릴 하이브리드' '릴 에이블' 등 디바이스와 전용 스틱 '핏' '믹스' 에임' 등이다. 향후 출시할 혁신 제품도 포함한다.
특히 KT&G와 PMI는 전자 담배 전용 스틱 등에 대해 최소 구매 수량 기준을 뒀다. 이번 계약은 시장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게 위해 3년 단위 주기로 실적 성과를 검토, 수량이 확정되는 보증이 연계돼 있다. 첫 3년(2023~2025년) 구간은 수량 160억 개비 보증으로 시작한다. PMI가 해당 수량 판매를 보증하는 것이다.
KT&G 매출 발생은 릴 공급 상품에 대한 상품 매출과 공급 상품 판매분에 대한 로열티, 계약 상대방이 대체 생산한 상품 판매분에 대한 로열티로 구성돼 있다.
앞으로 KT&G는 향후 15년 계약 기간 릴 등 '넥스트 제너레이션 프로덕트(NGP)' 해외 사업 추정 연평균 매출 성장률은 20.6%다. 계약 기간 해외 스틱 매출 수량 성장률은 24%다.
KT&G 경우 지난 3년 계약 실적을 보면 재작년(2021년)에 비해 작년(2022년) 매출은 약 2배 성장했다. 영업익은 4.6배 가량 성장했다. KT&G는 앞으로 이런 성장 추세는 더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KT&G는 2020년 PMI와의 공급 계약 체결로 PMI 유통 마케팅 인프라를 통해 릴을 일본 등 3개국 첫 출시 후 이탈리아, 그리스 등 유럽 주요국과 중앙 아시아, 중앙 아메리카 등지로 해외 진출 외연을 넓혀왔다. EU 12개국을 포함해 글로벌 31개국에 브랜드와 다양한 플랫폼을 출시해왔다.
이번 계약 체결로 향후 진출국 확대와 관련 임왕섭 KT&G NGP사업본부장은 "앞서 협업 계약을 통해 NGP 큰 시장은 이미 진출한 상태"라며 "앞으로 다소 시차가 있더라도 기존 PMI 아이코스가 진출한 국가엔 모두 진출하게 될 것"이라고 봤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