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전기 요금 인상 결국 4월도 넘겨…한전, 직원 임금 인상분 반납 검토
소민영 기자
somy@socialvalue.kr | 2023-04-21 13:49:27
[소셜밸류=소민영 기자] 전기 요금이 원가에도 못미치고 있어 한국전력의 손실이 늘고 있는 상황에 3월에 확정되었어야 할 2분기 전기요금 인상이 결국 4월도 넘길 것으로 보인다.
21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고물가 시대에 따른 경제 부담에 전기 요금 인상이 부정적 여론이 일 수 있다는 우려에 정부가 선뜻 결정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분위기다.
지난해 한전의 1kWh당 전기 구입 단가는 155.5원이었지만, 판매 단가는 이보다 30원 이상 낮은 120.51원이었다. 이에 따라 한전은 지난해 전기 판매 과정에서 22조8천여억 원의 손실을 봤다.
올해 1분기 전기 요금이 kWh당 13.1원 올라 역대 분기별 최고 인상 폭을 기록했지만, 원가와 판매 가격 역전 현상은 계속되고 있다.
지난 1월~2월 한전의 전기 구입 단가는 1kWh당 각각 165.59원이지만 판매 단가는 149.73원이다. 이는 구입 단가에 비해 판매 단가가 15.86원이 적어 한전은 두 달 동안 1조4천여억원의 손해를 봤다.
국민의힘 박대출 정책위의장은 “국민들에게 요금을 올려달라고 하기 전에 한전·가스공사도 뼈를 깎는 노력을 해달라고 여러 차례 촉구했지만 아직 응답이 없어 개탄스럽다”고 전했다.
이에 한전도 이날 “뼈를 깎는 심정으로 인건비 감축, 조직 인력 혁신, 에너지 취약 계층 지원 및 국민 편익 제고 방안이 포함된 추가 대책을 조속한 시일 내 마련해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전은 한전 및 발전 6사를 포함한 전력그룹 10개 사 모두 전기 요금 조정에 앞서 국민 부담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20조원 이상의 재정건전화계획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올해 2분기 전기요금 인상 결정이 지연되면서 불어나는 적자를 떠안게 된 한전은 임직원의 올해 임금 인상분 반납을 검토중에 있다.
그러면서 한전은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 전력 판매가격이 전력 구입가격에 현저히 미달하고 있어 요금 조정이 지연될 경우 전력의 안정적 공급에 차질이 생길 것”이라며 “이를 감안해 전기요금의 적기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점에 대한 국민 여러분의 깊은 이해를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