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 커피 전용 물류센터로 원두 ‘신선보관·신속배송’…커피 물류 쾌속 성장
소민영 기자
somy@socialvalue.kr | 2023-05-25 13:49:47
[소셜밸류=소민영 기자] CJ대한통운이 커피 전용 물류센터와 촘촘한 물류망으로 커피 물류 시장에서 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전문적인 ‘커피 물류 서비스’로 압도적 물류 인프라와 컨설팅 역량을 앞세우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관세청과 커피 업계에 따르면 한국은 미국과 중국에 이은 3위 시장이다. 국내 커피 시장 성장세는 ‘커피 공화국’이라는 표현이 나올 정도로 가파르다.
국내 커피 시장은 올해 매출 15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믹스커피 등 소매 시장 규모가 수년째 2조 원대에 머물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커피 전문점이 전체 시장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셈이다.
커피 물류는 냉장, 냉동 등 품질 유지를 위한 콜드체인(cold chain·냉장 유통 시스템)과 재고 폐기 문제로 일반 물류에 비해 까다롭고, 물류센터를 짓고 자체 배송망을 갖추는 데도 막대한 투자가 들어간다.
이에 CJ대한통운은 단순히 원두를 신선하게 보관·배송하는 것 외에도 각 매장별로 운영에 필요한 제반 물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선 매장에서 자체적으로 관리해 온 범위 이상의 수준 높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 같은 시스템 구현이 가능한 배경에는 CJ대한통운의 전국 물류망과 자동화 물류센터가 있다.
CJ대한통운은 신선도 유지와 적시성 확보를 위해 물류센터 거점을 확보해 전국 물류망을 강화해 왔다. 최근 부산 국제산업물류도시에 구축한 국내 최대 커피 물류센터인 ‘스타벅스 남부권센터’도 그 노력의 일환이다. CJ대한통운의 물류 시스템과 배송망을 활용해 인프라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고, 매장 필요에 의한 소량 주문이 가능하다.
CJ대한통운 물류센터에서는 매장에서 주문한 상품을 포장‧분류해 배송 차량에 싣기까지 80% 이상의 과정을 자동화 설비가 진행한다.
적재된 박스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로 옮기는 ‘로봇팔 디팔레타이저(Depalletizer)’, 상품을 매장별로 자동 분류해 주는 ‘PAS(Piece Assorting System)’ 등을 도입해 운영 중이다. 사람과 비교하면 놀라울 정도로 빠르고 정확하다. 매장에서도 별도의 검품과 재분류 과정이 사라져 납품 소요시간이 90분에서 10분으로 대폭 단축된다.
CJ대한통운 물류센터에서 자동화 설비를 따라 상품을 담은 박스가 이동하고 있다.
많은 종류의 제품을 다량 취급하는 커피 물류 특성상 재고 관리는 큰 도전 과제다. 이를 위해 CJ대한통운은 전 배송 과정을 데이터화했다. 상품 재고와 배송을 직접 관리하기 때문에 그동안 분리되어 있던 매장과 물류 데이터 간 연계·분석이 가능하다. CJ대한통운은 다양한 물류 데이터와 자동화 기술을 활용한 물류 컨설팅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CJ대한통운은 압도적 물류 경쟁력을 기반으로 고객을 묶어두는 락인(lock-in) 효과를 제대로 거두고 있다. 국내 커피 물류 시장에서 압도적인 1위다. 커피 시장의 확장과 함께 실적 상승 폭이 더 클 것이라는 기대감이 생기는 대목이다.
김권웅 CJ대한통운 W&D본부장은 “커피 물류라는 개념 자체가 생소했던 2010년 대부터 이 같은 성장성을 보고 개척한 시장이다”며 “빠르고 안정적인 물류 서비스를 통해 다년간 쌓인 고객사의 신뢰는 우리 회사의 가장 큰 경쟁력”이라고 말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