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5월 ‘나눔의 달’ 캠페인 실시…나눔 키오스크로 아동 20명 집중 후원

소민영 기자

somy@socialvalue.kr | 2023-05-02 13:16:49

▲삼성전자는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전 임직원이 참여하는 '나눔의 달' 캠페인을 펼친다./사진=삼성전자 제공

 

[소셜밸류=소민영 기자] 삼성전자는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전 임직원이 참여하는 '나눔의 달' 캠페인을 펼친다.


삼성전자는 5월 한 달간 임직원들이 사업장에 설치된 '나눔키오스크'와 캠페인 기간 중 특별 개설되는 '온라인 나눔키오스크'를 통해 위기가정 아동 20명을 한 달간 집중 후원한다고 2일 밝혔다.

올해 처음 열리는 나눔의 달 캠페인은 2015년 처음으로 삼성전자 구미사업장에 도입된 이후 전 사업장으로 확산돼 삼성 임직원의 '일상의 기부' 플랫폼으로 자리잡은 나눔키오스크 기부를 더욱 활성화하고, 우리 사회에 개인기부 문화를 확산하는 데에도 기여하자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삼성전자는 임직원에게 '나눔 굿즈'를 제공하며 즐겁게 나눔을 실천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할 계획이다.

□ 하루 1명씩 총 20명의 아동에게 지원…수혜 아동 댓글 응원 이벤트

삼성전자 각 사업장에 설치되어 있는 나눔키오스크에 임직원이 사원증을 태깅하면 매회 1,000원씩 기부된다.

평소에는 각 사업장에 있는 나눔키오스크에 지역 사업장별로 서로 다른 한 아동의 사연이 소개되고, 목표 기부액이 모아지면 다음 아동을 위한 모금이 시작되는데, 나눔의 달 캠페인 기간인 5월 한 달 동안은 삼성전자 전국 사업장의 나눔키오스크에서 동일한 1명의 아동을 하루씩 소개해 집중 지원한다.

아동의 사연은 사내 인트라넷에도 소개되고, 임직원들이 나눔키오스크를 찾지 않고 사무실에서도 손쉽게 기부할 수 있도록 사내 메신저를 활용한 '온라인 나눔키오스크'도 한 달간 특별 개설된다.

이번에 지원을 받게 될 아동들은 희귀난치병, 중증장애를 앓고 있거나 미혼모·한부모 가족, 다문화 가족 중 어려움을 겪고 있어 시급하게 지원이 필요한 아동으로 굿네이버스, 세이브더칠드런과 함께 선정했다.

캠페인 첫날 사연이 소개된 김빛나(가명, 4세) 어린이는 희귀난치병 '팰리스터-홀 증후군'을 앓고 있다. 이 증후군은 염색체 돌연변이로 인해 손, 발 등의 신체 결함과 내장 기관 이상이 유발되는 희귀병이다. 김빛나 어린이는 음식물을 제대로 먹을 수 없어 콧줄로 영양분을 섭취하고 있다.

김빛나 어린이 가족의 수입은 치료비를 충당하기에 벅차지만 이들 가족은 기초생활보장 급여 수급 대상이 아니라 정부 지원을 받기 어렵다. 도움이 시급한 상황이다.

2015년 삼성전자 구미사업장 사원협의회 임직원들의 제안으로 처음 만들어진 나눔키오스크는 구미사업장 임직원들이 시작해 입소문을 타면서 다른 사업장으로 확대됐다.

2016년 수원사업장, 2020년 화성사업장, 2021년 용인, 평택, 천안, 온양사업장에 추가로 설치됐다. 이어 2022년에는 서울R&D캠퍼스와 광주사업장 등 삼성전자의 국내 전 사업장에 설치 됐을 뿐 아니라 미국, 중국, 인도, 베트남, 태국 등 해외 사업장으로도 확대됐다.

삼성전자는 현재 국내 35대, 해외 24대로 총 59대의 나눔키오스크를 운영하고 있다. 8년간 국내 나눔키오스크를 통해 모금된 26.4억원의 기부금은 도움이 필요한 아동 580명에게 전달됐다.

나눔키오스크를 통한 '일상의 기부'가 어려움에 처한 아동들에게 즉시 도움이 된다는 점에 공감하는 임직원이 늘어나면서 임직원의 기부 참여가 늘어나고 있다. 이렇게 진행한 연간 기부 참여자는 2015년 연간 5,000여명에서 2022년 연간 38,000여명으로 7배 이상 늘어났다. 지난해에 1,000번 이상 기부에 참여한 임직원만 13명이다.

아울러 삼성은 '함께가요 미래로! Enabling People'이라는 CSR 비전 아래 청소년 교육과 상생협력의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청소년 교육 중심 활동으로는 ▲삼성청년SW아카데미 ▲삼성희망디딤돌 ▲삼성드림클래스 ▲삼성주니어SW아카데미 ▲삼성스마트스쿨과 같이 청소년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전환 지원 ▲C랩(인사이드/아웃사이드) ▲상생펀드·물대지원펀드 조성 ▲협력회사 인센티브 지급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나눔키오스크 등 상생협력 프로그램도 진행하고 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