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원대 ‘전기저수지’ ESS 시장 열린다, 삼성·LG·SK, 낙찰전쟁 예고[1부]

정부, 전국 540MW ESS 도입 입찰 공고…국내 배터리 삼파전 전망

최성호 기자

choisungho119@naver.com | 2025-05-22 13:10:24

▲LG에너지솔루션 전력망용 ESS 배터리 컨테이너/사진=LG에너지솔루션 제공/최성호기자

 

[소셜밸류=최성호 기자] 정부가 재생에너지 변동성을 제어하고 전력망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도입에 본격 착수한다. 총 사업비 1조원대가 예상되는 이번 프로젝트는 전국 단위의 첫 ESS 중앙 계약 시장으로,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 국내 주요 배터리 3사의 치열한 경쟁이 전망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전력계통 유연성 확보와 발전소 출력 제어 해소를 위해 총 540MW(메가와트) 규모의 배터리 ESS 도입을 위한 입찰 공고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ESS는 태양광 등으로 남는 전기를 저장해 수요가 높을 때 공급하는 ‘전기의 저수지’ 역할을 하는 핵심 인프라다.

이번 사업은 육지에 500MW, 제주에 40MW 규모로 각각 설치되며, 충전·방전 시간은 모두 6시간이다. 전력량 기준으로는 총 3,240MWh(메가와트시)에 달한다. 사업자는 2026년까지 설비를 구축해 향후 15년간 전력거래소의 지시에 따라 전기를 저장하고 공급하게 된다.

그동안 개별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ESS를 설치·운영한 사례는 있었지만, 전력거래소가 직접 통제하는 ESS 설비가 전국적으로 도입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부는 지난해 제주에서 65MW 규모로 시범 도입한 데 이어 이번에 규모와 지역을 대폭 확대했다.

ESS 확대로 전환 유연성 확보…탄소중립 흐름 가속


정부가 대규모 ESS 구축에 나선 배경에는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재생에너지 확대와 그에 따른 전력 수급 불균형 문제가 자리하고 있다. 태양광, 풍력 등 자연 조건에 따라 전력 생산량이 들쑥날쑥한 재생에너지는 유연한 저장·공급 장치 없이는 안정적 전력망 운영이 어렵다.

실제로 국내에서는 ESS 보급이 높은 초기 투자비와 화재 안전성 우려로 더딘 편이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낮은 수요로 인해 발전량을 인위적으로 제한하는 '출력 제어' 사례가 빈번해지면서, ESS 확대의 필요성이 커졌다.

산업부 관계자는 “ESS는 재생에너지 확대의 필수조건”이라며 “이번 도입으로 출력 제어를 줄이고, 전체 전력계통의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낙찰은 7월…‘삼성·LG·SK’ 국내 3사 각축
 

입찰은 가격 외에도 산업기여도, 폐배터리 재활용성, 화재방지 설계 등 비가격 요소까지 종합 평가된다. 업계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국내 배터리 3사가 낙찰을 두고 본격적인 삼파전을 벌일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국내 산업 생태계를 고려해 평가 항목을 설정한 만큼, 해외 기업보다는 국내 업체 중심의 낙찰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이번 ESS 사업은 민간 선투자 방식으로 진행되며, 정부가 시장보다 높은 전기 요금을 보장해 투자금을 회수하는 구조다. 이에 따라 정부 재정 부담은 없지만, 장기적으로는 전기 소비자들이 전력망 안정화 비용을 간접 부담하게 된다.

한편 정부는 오는 7월 중 최종 낙찰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전력 인프라의 미래를 좌우할 ESS 입찰 결과에 산업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2부=분석기사 계속 ]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