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퓨처엠–CNGR LFP 협력, 美 수출 ‘관세 장벽’에 시장 확장 제동 우려(1부)

이덕형 기자

ceo119@naver.com | 2025-08-11 10:02:02

▲포스포퓨처엠-CNGR LFP양극재 MOU/사진=포스코퓨처엠 제공/이덕형기자

 

[소셜밸류=이덕형 기자] 포스코퓨처엠이 중국 배터리 소재 기업 CNGR과 손잡고 리튬인산철(LFP) 양극재 사업에 본격 진출하지만, 미국 시장 확대에는 높은 관세와 정책 제약이 걸림돌로 작용할 전망이다.


포스코퓨처엠은 11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CNGR, CNGR의 한국 자회사 피노(FINO)와 함께 LFP 양극재 생산·공동 마케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력은 기존 전구체 합작사 ‘씨앤피신소재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사업 범위를 넓히는 전략이다.

그러나 이 협력 모델로 생산되는 LFP 양극재가 미국 시장에 진출하려면, 중국산 소재·기술이 포함된 제품에 부과되는 고율 관세와 각종 규제를 넘어야 한다. 현재 미국은 중국산 배터리 부품과 소재에 최대 93.5%의 반덤핑 관세를 예비 부과하고 있다.

 

일부 품목은 총 160% 이상에 달하는 세금 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에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세액공제 제한까지 겹치면, 현지 고객사 입장에서 가격 경쟁력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전기차와 달리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은 관세 영향이 상대적으로 덜하다는 분석도 있으나, 미국 ESS 시장에서도 중국산 LFP 제품에 대한 견제 기류가 강해지고 있다. 글로벌 ESS 시장에서 LFP 점유율이 80%에 달하는 상황에서, 원재료와 기술 출처가 중국인 제품은 정책 리스크가 상존한다.

업계 한 관계자는 “법적으로 수출이 금지된 것은 아니지만, 관세와 보조금 제한이 맞물리면 미국 판매 가격이 급등해 시장 확대는 쉽지 않다”며 “미국 시장을 겨냥하려면 중국산 의존도를 줄이는 별도 생산 체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포스코퓨처엠은 하이니켈 삼원계 양극재를 주력으로 하면서 LMR·LFP 등 제품군을 다각화하고 있지만, 이번 CNGR 협력으로 만든 LFP가 사실상 아시아·유럽 중심으로만 판매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 진출을 위해서는 원재료 조달·생산 구조부터 재설계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