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국감] 국감서 고개 숙인 쿠팡 “연륙도 배송비 폐지·정산 주기 단축 추진”
연륙도 자동 분류 오류, 국감서 시정 계획 공식화
네이버보다 긴 정산 주기·높은 수수료 지적에 해명 나서
“농어민 부담 완화 위해 정산주기 단축 검토”
한시은 기자
sehan24@naver.com | 2025-10-16 09:48:23
[소셜밸류=한시은 기자] 쿠팡이 다리로 육지와 연결된 섬(연륙도) 지역 고객에게 부과해온 추가 배송비를 다음달 초부터 폐지한다. 국정감사에서 논란이 제기된 직후 시스템 개선을 완료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박대준 쿠팡 대표는 지난 15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해양수산부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달 말이면 시스템 개발이 마무리돼 11월 초부터 개선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공정거래위원회는 연륙도서에 추가 배송비를 부과한 13개 쇼핑몰을 적발, 쿠팡을 제외한 12개 사업자가 시정을 완료했다. 연륙섬 추가 배송비는 2023년 개정된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지침’에 따라 금지돼 있다.
쿠팡은 연륙도서의 우편번호가 인근 섬과 같아 도서·산간 지역으로 자동 분류돼 추가 배송비가 부과됐다며 시스템 개편 작업을 벌여왔다.
이날 서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다리가 놓여 있음에도 섬마냥 추가배송비를 부과하는 것은 사회통념에 배치되고 위배되는 것으로 국민의 비판을 피하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이에 박 대표는 “로켓배송은 이미 개선됐지만 중개거래(오픈마켓) 상품은 타 택배사 시스템이 연결돼 있어 작업이 다소 지연됐다”며 “이달 말 개발이 완료될 예정”이라고 답했다.
이날 수수료 및 정산 주기 개선에 대한 문제도 도마에 올랐다. 서 의원은 “쿠팡은 농축수산물에 평균 10.6%의 수수료를 부과하고, 판매 후 판매 금액의 70%는 15일 후, 나머지 30%는 두 달 뒤 지급해 영세 농어민의 부담을 키운다”고 비판했다. 반면 네이버는 농·축·수산물에 대한 수수료가 3%, 정산 주기는 사흘 이내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박 대표는 “수수료는 상품 가격 구조와 관련돼 있어 즉답은 어렵다”면서도 “중개 거래 상품은 구매 확정 다음 날 정산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이미 시행 중이며, 더 개선하기 위해 금융기관과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타사 수준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정산 시스템을 고도화하겠다”고 덧붙였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