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미국 뉴욕증시, 금리 하락에 다우-S&P 사상 최고...나스닥도 근접...선물은 혼조로 시작

미국 재무부의 국채 발행 예정액이 줄었다는 소식에 증시가 환호했다는 평가
다우지수 및 S&P500 지수 연일 최고치, 나스닥도 최고치에 근접 중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4-01-30 08:46:50

▲미국 뉴욕증시는 29일(현지시간) 국채금리가 하락하면서 일제히 상승세로 장을 마쳤다. 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일하는 트레이더들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는 이번 주 FOMC 회의를 앞두고 쉬어가는 분위기를 연출하다 오후 장 들어 일제히 상승세로 전환했다. 특히 나스닥 지수와 반도체 지수는 1% 넘는 상승세를 나타내며 장을 마쳤다.

 

정규장 마감 이후 개설된 선물시장은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즉 나스닥 100 선물은 0.12% 상승 추세인 반면 다우 선물은 0.15% 내렸다. 

 

29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24.02포인트(0.59%) 상승한 38,333.45를 기록하며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6.96포인트(0.76%) 상승한 4,927.93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72.68포인트(1.12%) 오른 15,628.04를 나타내며 장을 마쳤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46.17포인트(1.06%) 상승한 4,388.28을 기록하며 마감했다. 

 

주요 종목으로는 테슬라가 4.1% 급등한 것을 비롯해 엔비디아 2.3%, 마이크로소프트 1.4%, AMD 0.3%, 메타 1.8%, 아마존닷컴 1.3%, 넷플릭스 0.9%, 구글의 알파벳 0.8%, 코인베이스가 6.0%, ARM이 2.4% 상승하며 마감했다. 이에 비해 애플이 0.3% 하락하며 마감했다.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오후에도 일제히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시간이 갈수록 하락세가 커지고 있다. 현지시간 오후 3시 4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88%포인트(8.8bp) 하락한 4.072%를 나타내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61%포인트(6.1bp) 내린 4.304%를 가리키고 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미국 뉴욕증시는 미국 재무부의 국채 발행 계획에 환호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올해 1분기 국채 발행 예상치가 기존 예상치를 하회할 것이라고 재무부가 발표하자 국채 가격(금리 하락)이 뛰면서 증시도 동반 강세를 보였다.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 다우지수 및 S&P500 지수에 이어 나스닥지수도 사상 최고치를 사정권에 두기 시작했다. 나스닥 지수의 역대 최고치는 2021년 11월 30일 기록한 16,212.23이다. 나스닥은 이날 강세로 기존 최고치까지 약 600포인트, 3.7% 정도의 거리만 남겨두고 있다.

 

이날 랠리는 오후 3시 발표된 재무부의 국채 발행 계획이 촉발했다. 기존 예상보다 국채 물량 부담이 약해진 것으로 나타나면서 주식과 채권이 동시에 오름폭을 확대하기 시작했다.

 

미국 재무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채 발행 규모는 7천600억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정례 발표 때 예상했던 올해 1분기 전망치보다 550억달러 작은 수치다.

 

재무부는 1분기 순 재정 흐름이 예상보다 높았고 분기 현금 잔고도 더 많았던 것이 주된 이유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올해 1분기 말 기준 현금 잔고는 7천500억달러일 것으로 재무부는 추정했다. 재무부는 또 오는 2분기에는 국채 발행 규모가 2020억달러일 것으로 전망했다. 2분기 말 기준 현금 잔고 또한 7500억달러로 예상됐다.

 

2분기 국채 물량 또한 시장을 누르는 요소였으나 이날 재무부의 발표로 부담감이 약해졌다. 앞서 지난주 도이체방크는 2분기 미국 국채 발행량이 4720억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예상한 바 있다.

 

캐피톨증권매니지먼트의 켄트 엥겔케 수석 경제 전략가는 이날 채권시장을 필두로 주식시장까지 강세를 보이는 것에 대해 "모든 것이 금리에 대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주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와 함께 기업 실적도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S&P500에 포함된 기업 중 19%가 이번 주에 작년 4분기 실적을 공개한다. 빅테크의 실적 발표도 이번 주에 몰려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애플, 메타플랫폼, 아마존, 알파벳이 줄줄이 실적을 내놓는다. 항공기 제조업체 보잉과 제약회사 머크의 실적 발표도 이번 주 예정돼 있다.

 

개별 주식 중에선 소파이테크놀로지의 주가가 20% 이상 급등했다. 작년 4분기 주당순이익이 월가 전망치를 웃돈 영향이다. 화상회의 전문 기술기업 줌인포테크놀로지스의 주가도 6% 넘게 뛰었다. 뱅크오브아메리카가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한 영향이다. 반면 워너브라더스는 웰스파고가 투자의견을 '비중확대'에서 '동일비중'으로 투자의견을 내린 뒤 1% 이상 떨어졌다.

 

S&P500 지수 내 업종 중에선 에너지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상승했다. 임의소비재는 1% 넘게 뛰었다. E트레이드의 크리스 라킨 트레이딩·인베스팅 총괄은 "이번 주가 핵심"이라며 "시장이 최근의 사상 최고치 경신 흐름을 계속 유지하려면 실적이 투자자들이 실망하게 해선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마감 시점 연준이 오는 3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47.2%를 기록했다.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52.8%에 달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