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미국 뉴욕증시, 차익매물에 나스닥-다우-S&P 모두 하락 선물시장도 하락 출발
마이크론테크놀러지 주가는 앞으로 나올 엔비디아 H200 GPU에 사용되는
HBM3E 반도체 "대량 생산"을 시작했다고 밝히면서 4% 이상 올라
연준이 6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61.1%에 그쳐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4-02-27 08:49:15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는 이번 주 나오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선호하는 물가 지표를 기다리며 장중 내내 눈치장세를 보이며 장 후반에는 차익매물이 쏟아졌다. 이에 3대 지수가 모두 하락으로 마감했다. 다만 반도체 지수는 1%대 상승률을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정규장 마감 이후 시작된 선물시장은 하락세로 출발했다. 나스닥 100 선물이 0.07% 하락하고 다우 선물이 0.01%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26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2.30포인트(0.16%) 오른 39,069.23을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9.27포인트(0.38%) 하락한 5,069.53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20.57포인트(0.13%) 내린 15,976.25를 나타내며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48.43포인트(1.05%) 상승한 4,663.47을 기록하며 마감했다.
주요 종목으로는 엔비디아가 0.3% 상승한 것을 비롯해 테슬라 3.8%, ARM 9.6%, 코인베이스 16.8%, 넷플릭스가 0.7% 상승하며 마감했다. 이에 비해 AMD 0.2%, 애플 0.7%, 구글의 알파벳 4.4%, 아마존닷컴 0.1%, 메타 0.4%, 마이크로소프트가 0.6% 하락하며 마감했다.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오후에도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현지시간 오후 5시 05분 현재 10년물이 전일보다 0.021%포인트(2.1bp) 오른 4.282%를 나타내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41%포인트(4.1bp) 상승한 4.731%를 기록하고 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주 엔비디아의 실적 호조에 되살아난 인공지능(AI)에 대한 투자 열기는 주식시장 전반의 투자 심리를 개선했다. 지난 24일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으나 이날은 투자자들의 관망세 속에 소폭 하락했다. 나스닥지수는 이틀 연속 하락했다.
최근 발표된 인플레이션 수치가 예상보다 강하게 나오면서 연준의 금리 인하가 예상보다 더디게 진행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졌지만, 주식시장은 대체로 이를 무시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마무리돼 가면서 투자자들이 연준의 통화정책으로 관심을 돌리고, 인플레이션이 다시 부각될 위험도 커지고 있다.
이번 주 29일에는 연준이 선호하는 1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나올 예정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바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1월 PCE 가격지수가 전달보다 0.3% 올라 전달의 0.2% 상승보다 상승세가 가팔라질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전년 대비로는 2.4% 올라 전달의 2.6% 상승에서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1월 근원 PCE 가격지수는 전달보다 0.4% 올라 전달의 0.2% 상승보다 높아지고, 전년 대비로는 2.8% 올라 전달의 2.9% 상승보다 둔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시장에서는 지난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보다 강한 모습을 보였다는 점에서 1월 PCE 물가가 인플레이션 우려를 자극할 수 있다고 예상하고 있다.
AI 열풍을 주도하는 엔비디아의 주가는 0.3%가량 상승했다. 마이크론테크놀러지의 주가는 앞으로 나올 엔비디아 H200 그래픽처리장치(GPU)에 사용되는 HBM3E 반도체 "대량 생산"을 시작했다고 밝히면서 4% 이상 올랐다.
기업들의 실적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나오고 있다. 버크셔해서웨이는 예상치를 웃돈 영업이익을 발표했으나 주가는 2%가량 하락했다. 도미노스 피자의 주가는 예상을 웃도는 순이익을 발표해 5% 이상 상승했다.
인튜이티브 머신스의 주가는 달에 착륙한 무인 우주선 '오디세우스'가 달 표면에 측면으로 착륙해 옆으로 누워 있는 상태일 수 있다는 회사 측 발표에 34% 이상 하락했다. 당초 수직으로 서 있다고 한 발표를 번복한 것이다.
이날부터 다우지수에 처음 편입한 아마존의 주가는 0.15% 하락했다. 미 연방거래위원회(FTC)가 슈퍼마켓 체인 크로거와 앨버트슨의 인수 합병을 막기 위해 소송을 제기했다는 소식에 크로거의 주가는 2%가량 하락했다. 앨버트슨의 주가는 0.6% 올랐다.
통신업체 알티스USA의 주가는 차터 커뮤니케이션스가 인수를 고려하고 있다는 소식에 36%가량 올랐다. 코인베이스 주가는 비트코인이 상승을 재개했다는 소식에 16% 이상 올랐다. 비트코인은 5%가량 오른 5만4천500달러 근방에서 움직이고 잇다.
이날 발표된 미국의 1월 신규 주택 판매는 연율로 66만1천채로 전달보다 1.5% 증가했다. 이날 수치는 시장 예상치인 68만채를 밑도는 것이다. 전달 수치는 7.2% 증가한 바 있다.
S&P500 지수 내 11개 업종 중에서 에너지, 임의소비재, 기술 관련주가 오르고, 유틸리티, 통신, 부동산, 자재, 헬스 관련주가 하락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양호한 실적과 AI 열기가 지금까지 증시 랠리를 이끌었다며 앞으로는 실적을 통해 옥석가리기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랜즈버그 베넷 프라이빗 웰스 매니지먼트의 마이클 랜스버그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예상보다 양호한 실적과 인공지능(AI)에 대한 흥분에 주도된 올해 주식시장 랠리에 우리는 고무됐다"라며 "이는 지속된 인플레이션으로 연준의 금리 인하가 지연될 수 있다는 시장의 우려를 무색하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AI로 수익을 낼 수 있는 기업은 주가가 계속 상승할 것이며, 그렇지 못한 기업은 작년 주가 상승분의 상당 부문을 되돌릴 것"이라며 "대다수 기업의 AI 열기는 과장된 것으로 드러나겠지만, 진정한 승자는 지금의 흥분이 보수적으로 보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마감 시점 연준이 오는 6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61.1%에 달했다. 이는 전장의 65% 수준에서 하락한 것이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