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미국 뉴욕증시, 금리인하 신중론에 나스닥 2일째 다우 3일째 하락...선물 혼조세로 개장

S&P500지수 내 11개 업종이 모두 하락하며 부진
연준이 3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59.1%를 기록하며 하락
국채금리 10년물 전날보다 0.04%p(4bp) 상승한 4.106% 나타내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4-01-18 08:39:05

▲미국 뉴욕증시는 17일(현지시간) 금리 인하 신중론이 부각되면서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일하는 트레이더들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는 미국 국채금리가 연일 급등하면서 기술주들이 하락세를 보이며 마감했다. 특히 이날은 미국의 소매판매가 강한 모습을 보이고, 국채금리는 지난해 12월 중순 이후 최고치로 오르면서 나스닥 지수와 반도체 지수가 증시 하락을 주도했다.

 

이날 다우지수는 3거래일 연속,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2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정규장 마감 이후 개설된 선물시장은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나스닥 100 선물이 0.09% 하락하고 다우 선물은 0.01%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17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94.45포인트(0.25%) 하락한 37,266.67을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6.77포인트(0.56%) 떨어진 4,739.21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88.73포인트(0.59%) 밀린 14,855.62 나타내며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날보다 36.00포인트(0.88%) 하락한 4,069.95를 마크하며 장을 마쳤다 

 

주요 종목으로는 엔비디아가 0.5% 하락한 것을 비롯해 테슬라 1.9%, 애플 0.5%, 마이크로소프트 0.2%, 아마존닷컴 0.9%, 구글의 알파벳 0.7%, 넷플릭스 0.1%, 코인베이스가 0.01% 하락하며 장을 마쳤다. 이에 비해 AMD는 0.9%, 메타가 0.2%, ARM이 2% 상승하며 마감했다.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오후에도 급격한 상승세를 유지했다. 현지시간 오후 5시 05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4%포인트(4bp) 상승한 4.106%를 나타내고 2년물이 전날보다 0.133%포인트(13.3bp) 급등한 4.361%를 기록하고 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미국 뉴욕증시 투자자들은 소매 판매 지표와 국채금리 상승세 등을 주시했다.

 

최근 들어 크리스토퍼 월러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이사가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을 것을 시사하고, 소비마저 강한 모습을 보이면서 연준의 연내 금리 인하 기대가 재조정되는 모습이다. 미국의 지난해 12월 소매 판매는 계절 조정 기준 전월보다 0.6% 늘어난 7099억달러를 기록했다. 이번 수치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예상치였던 0.4% 증가를 웃돈 것으로 직전월 수치(0.3%↑)보다 상승 폭이 두 배 컸다.

 

미국의 소비는 국내총생산(GDP)의 3분의 2를 차지한다는 점에서 강한 소비는 미국 경제가 여전히 강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 같은 소식에 국채금리가 상승하고 달러화 가치도 올랐다.

 

10년물 국채금리는 12월 중순 이후 최고치인 4.12%까지 상승했다. 연준이 3월에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50%대로 떨어졌다. 강한 경제 지표는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낮추기 때문이다.

 

연준은 이날 경기평가 보고서인 1월 베이지북에서 거의 모든 지역에 고용 시장이 냉각되고 있다는 신호가 나타났다고 말했다. 또한 경제활동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고 평가했으며,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완만한 상승세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미국의 12월 산업생산은 전월보다 0.1% 증가해 시장의 예상치 0.1% 감소와 전달의 보합 수준보다 개선됐다.

 

JP모건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한 인터뷰에서 "모든 것이 더 이상 좋을 수 없을 정도로 좋다고 가정하는 것은 실수가 될 수 있다"며 경제에 대해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S&P500지수 내 11개 업종이 모두 하락했으며 부동산, 유틸리티 관련주가 1% 이상 하락해 상대적으로 낙폭이 컸다.

 

4분기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계속되는 가운데, 금융 기업 찰스 슈왑은 예상치를 웃도는 순이익 발표에도 영업수익이 예상치를 밑돌면서 주가는 1% 이상 떨어졌다. 애플의 주가는 회사가 다시 다음날부터 미국에서 특허 분쟁과 연계된 애플워치의 판매를 중단하기로 하면서 0.5%가량 하락했다.

 

테슬라의 주가는 중국에 이어 유럽에서도 전기차 가격을 인하했다는 소식에 2%가량 하락했다. 보잉의 주가는 미 연방항공청(FAA)의 보잉 737맥스9 여객기에 대한 감사 소식에 급락한 이후 이날은 1% 이상 반등했다. 스피릿 항공의 주가는 제트블루의 인수 제안을 연방 법원이 불허하면서 22% 이상 폭락했다. 인스타카트의 주가는 울프 리서치의 애널리스트가 우버의 인수 목표가 될 수 있다고 전망하면서 7% 이상 올랐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재조정되면서 시장이 이에 반응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앱투스 캐피털 어드바이저스의 존 루크 타이너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주식 투자자들이 국채금리의 상승과 금리가 더 오래 더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에 반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연준이 3월부터 6~7회가량의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 이후 "시장은 그것이 일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으며 올해 하반기에 금리 인하가 더 질서정연하게 이뤄지리라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마감 시점 연준이 오는 3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59.1%를 기록했다. 0.25%포인트 금리 인하 가능성은 57.6%, 0.50%포인트 금리 인하 가능성은 1.5%에 그쳤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