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SG증권발 주가 폭락사태 재발 막으려면 금투협-금융위-금감원 분발 필요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3-05-07 08:08:17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최근 발생한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 주가 폭락 사태는 많은 선량한 증권 투자자들에게마저 큰 경각심을 안겨 주고 있다. 증권 투자는 과연 훌륭한 재테크 수단인가 아니면 일탈한 투기의 수단인가 하는 의문마저 제기되는 상황이다.
우선 이번 사태는 증권 투자가 고위험 고수익의 영역이기에 철저히 자신의 책임 아래 진행돼야 한다는 사실을 망각한 상황에서 초래된 것으로 보인다. 수억 원에서 수십 억원을 투자하는 데 자신의 적극적인 의지나 계획, 관리가 결여된 채 투자가 이뤄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 같은 행위는 기본적인 투자 원칙이 무너져 내린 것이나 마찬가지다.
어떤 증권 투자도 사실 일확천금을 기대하거나 손실이 없는 이익을 가정하고 뛰어드는 것은 건전한 재테크의 범위에서 벗어났다고 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모르겠지만 단기적으로 얼마든지 이익은 물론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게 증권 투자의 속성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만큼 자신의 책임 아래 투자를 진행해야 하고, 큰돈을 벌 수 있다는 주변 사람들의 권유에 의해 무작정 투자가 이뤄지는 것은 절대로 해서는 안 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사태를 보면서 어릴 때부터 바른 금융교육을 통해 증권 투자는 투기가 아니라 저축이나 지속가능한 재테크 방법 중의 하나라는 인식을 심어줄 필요가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상기시킨다. 초등학교 혹은 중학교 고등학교 교육 과정을 통해서 증권 투자의 모든 것을 알고 경험을 통해 체득하는 과정을 일반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소리다.
앞으로 건전한 투자 교육은 우리 경제가 바른 방향으로 성장하는 데도 큰 역할을 하리라 본다. 건전한 투자를 통해서 그 돈이 성장이 유망한 기업으로 흘러 들어가고 기업은 이 돈을 활용해 나중에 우수한 기업으로 성장한다면 그게 곧 먹거리가 되고 GDP를 성장시키는 동력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우리나라와 같이 향후 인구가 감소하고 고령화하는 추세에서 부동산 시장보다는 증권 시장은 유력한 국민 부를 창출하는 수단이 될 가능성이 있다. 인구는 감소하는데도 AI(인공지능)이나 로봇이 발달하면 기업의 생산성을 높여 GDP를 높이는 효과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이는 증권 시장이 기업은 물론 개인의 먹거리를 창출하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한다. 즉 개인의 증권 투자에 대한 안목을 높이는 것은 미래를 살아가는 데 중요한 노하우가 되고, 개인 삶의 경쟁력을 높이는 지름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는 셈이다.
하지만 지금과 같은 국내 증권 시장의 운영 형태로는 건전한 성장과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 지금까지 도입된 국내 증권 시장의 거래 시스템으로는 자칫 투기가 조장되고 일탈 행위가 통용될 수 있는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건전한 거래를 방해하거나 가로막는 요소가 너무 많고 작전 세력이나 기관과 외국인 투자자가 개입해 시장을 농락할 여지가 많다고 본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금융투자협회가 주도가 되고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나서 우리나라 증권 시장의 거래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개선하고 손질해 신뢰할 수 있는 거래시스템으로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 인구가 감소하는 시대에도 믿고 맡겨서 재산을 증식시킬 수 있는 증권 시장이 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연구하고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대책은 단기적으로 시급히 도입해야 할 것도 있고 장기적으로 건전한 발전을 위해 추진해야 할 사안들도 있을 것이다. 다만 관점은 철저하게 투자자의 입장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어차피 증권 시장의 주인은 기업도 아니고 기관도 아니고 외국인도 아닌 증권 시장에 돈을 맡기는 투자자라고 할 수 있다. 나머지는 이 돈을 바탕으로 수익을 추구하는 제3자라고 할 수 있다.
가능한 많은 주식 투자자가 참여해 건전한 수익을 거둘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도입이 필요하다.
금융투자협회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은 증권 시장을 바르게 운영하고 관리하는 책임을 맡은 주체라고 할 수 있다. 인구가 줄어드는 시대 우리 먹거리의 미래는 증권 시장의 건전한 성장과 발전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금투협과 금융위와 금감원의 분발을 촉구하는 이유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