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10일째...임시휴전 지켜지지 않은 채 교전 계속

젤렌스키 대통령 "우크라이나군 수도 키이우 등 중부·동남부 주요 도시 통제권 유지"
푸틴 대통령 "군사 인프라 제거 작전이 거의 종료돼 가고 있다"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2-03-06 06:50:42

▲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키예프) 외곽 이르핀강을 건너 피란하려는 주민들이 파괴된 다리 밑에 모여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10일째인 5일(현지시간)에도 주요 전선에서 교전이 계속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민간인 대피를 위해 양측이 임시 휴전을 합의했음에도 지켜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AP·로이터·스푸트니크 통신에 따르면 양측은 이날 오전 10시(한국시간 5일 오후 4시)부터 임시 휴전하고 우크라이나 마리우폴과 볼노바하에서 민간인이 빠져나갈 인도주의 통로를 개설하기로 했었다.

 

하지만 이날 양측의 교전은 계속됐고 결국 민간인 대피는 이뤄지지 않았다. 우크라이나 관리는 러시아군이 포격과 공습을 계속하면서 민간인 대피를 막았다고 주장했다. 이리나 베레슈크 부총리는 이날 화상 연설에서 "러시아군이 이번 휴전을 이용해 해당 지역에서 더욱 진군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이를 멈추라고 요구했다"고 말했다.

 

인구 약 45만명 가운데 20만명이 빠져나갈 것으로 추산된 마리우폴의 시의회도 성명에서 "러시아군이 휴전 협정을 지키지 않고 있고 방위를 이유로 우리 도시와 주변 지역에 폭격을 계속 가하고 있어 시민들의 대피가 지연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제적십자위원회(ICRC)는 이날 오후 "분쟁으로 인한 피해를 본 도시의 민간인 대피를 위해 당사국들과 대화하고 있다"면서 "마리우폴과 볼노바하 대피는 5일에 시작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현재 마리우폴, 볼노바하 두 도시는 우크라이나 정부군이 통제하고 있으나, 러시아군이 도시 주변을 둘러싸고 포위망을 좁혀가고 있다.

 

러시아는 민간인 대피 실패의 책임을 우크라이나 탓으로 돌렸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는 휴전 요청에 즉각 응했으나 우크라이나가 민간인을 방패 삼아 자신들을 보호하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결국 이날 오후 러시아 국방부는 "우크라이나 측이 휴전을 연장하려는 의지를 보이지 않음에 따라 모스크바 시간 오후 6시(한국시간 6일 오전 0시)부터 공격 행위가 재개됐다"고 선언했다.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내 군사 인프라 제거 작전이 거의 종료돼 가고 있다고도 했다. 그는 "(우크라이나 작전에서) 우선해서 한 일은 군사 인프라 제거였다"면서 "모든 인프라는 아니지만 주로 무기고, 탄약고, 군용기, 방공미사일 시스템 등을 파괴했다. 사실상 이 작업이 거의 완료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날 동영상 성명을 통해 우크라이나군이 수도 키이우(키예프) 등 중부·동남부 주요 도시의 통제권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러시아군은 하르키우(하리코프), 미콜라이우, 체르니히우, 수미 지역을 봉쇄하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젤렌스키 대통령과 드미트로 쿨레바 외무장관은 지금까지 1만명이 넘는 러시아 병사들이 숨졌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AP는 우크라이나 정부가 공개한 동영상을 인용해 체르니히우, 헤르손 시민들이 러시아군에 저항을 지속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러시아군이 장악한 것으로 알려진 헤르손 거리에는 시민 수백명이 모여 '집으로 돌아가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러시아의 침공에 항의했다.

 

수도 키이우 외곽의 대규모 러시아 기갑부대는 이날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키이우 서북부 이르핀 마을에서 강력한 포격이 보고되는 등 키이우 외곽에서는 교전이 이어졌다고 BBC가 전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