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증시, 국채금리 3% 돌파했지만 상승 마감...나스닥-다우 시종 출렁거려
이번주 후반에 발표될 소비자 물가지수(CPI) 변수에 '관망모드'
중국의 코로나19 규제 완화, 기술기업에 대한 조사 종료는 호재
바이든 정부, 수입 태양광 패널에 대한 관세를 2년간 면제하기로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2-06-07 06:35:18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증시가 6일(현지시간) 불안한 투자심리를 드러내며 크게 출렁거리는 모습을 보였다. 즉 장 초반에는 선물시장 강세를 이어받아 강한 상승으로 출발했으나 장 막판으로 갈수록 그 기세가 수그러들어 다우 지수가 한때 마이너스로 전환하기도 했지만 종료를 앞두고 매수세가 들어오며 소폭이나마 일제히 상승으로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6.08포인트(0.05%) 오른 32,915.78로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2.89포인트(0.31%) 상승한 4,121.43으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48.64포인트(0.40%) 뛴 12,061.37로 거래를 마쳤다. 아울러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0.15포인트(0.00%) 오르며 3,062.74로 종료됐다.
이날 미국 증시는 크게 출렁거리는 모습을 보였다. 즉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오전 10시 6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31.43포인트(1.01%) 오른 33,231.13을 기록했지만 장 후반인 오후 3시 15분 현재는 소폭의 약세로 전환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오전장에는 전장보다 60.14포인트(1.46%) 상승한 4,168.68을 기록했으나 오후 장에서는 상승폭이 10포인트 내외로 줄어들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 역시 오전장에는 전장보다 228.48포인트(1.90%) 뛴 12,241.22를 나타냈지만 이후 상승폭을 크게 줄인 모습을 보였다.
아울러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도 초반의 급등세를 유지하지 못한 채 장 막판에는 0.3% 내외의 하락세로 돌아서기도 했다.
개별 종목 가격은 테슬라가 1.6%, 애플이 0.5%, 아마존닷컴이 1.9%, 메타가 1.8%, 알파벳이 1.9%, 엔비디아가 0.3% 오른 채 마감했다. 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는 0.4% 내렸다. 특히 이날 주식분할 첫 거래일을 맞아 아마존의 주가가 2% 가까이 오른 게 눈에 띈다. 아마존은 앞서 20대1로 주식분할을 결정한 바 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투자자들은 이번 주 후반에 나올 소비자물가지수(CPI) 지표를 대기하며 관망 모드에 들어섰다.
지난주 후반 발표된 미국의 5월 고용은 39만 명 증가해 예상보다 강한 모습을 보였다. 실업률도 3.6%로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고용이 견조한 가운데, 물가가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경우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긴축 강도를 높일 여지가 커진다.
반대로 인플레이션이 둔화하고 있다는 신호가 뚜렷해지면 연준은 긴축 강도를 낮출 것으로 예상돼 증시에도 숨통이 트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인플레이션 우려를 반영해 심리적 저항선인 3%를 돌파했다. 하지만 시장은 금리 상승세를 무시하는 모습을 보였다. 연준의 긴축 우려를 주식시장은 상당 부분 가격에 반영해온 데다 3% 금리는 지난 5월에도 한 번 도달한 바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코로나19 규제 완화 기대와 중국 정부가 뉴욕에 상장된 기술 기업들에 대한 조사를 종료할 것이라는 소식에 투자 심리가 개선됐다. 중국 당국은 디디추싱 등에 대한 조사를 중단하고 신규 가입자 유치 중단 조치를 해제할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의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중국 당국이 경기 촉진을 위해 강화해왔던 규제를 완화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투자자들은 미국의 대중 관세가 완화될지도 주목하고 있다.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은 전날 CNN방송에 출연해 가정용품이나 자전거 등과 같은 물품에 대한 관세 인하 조치는 타당한 측면이 있다고 언급했다. 이는 관련 제품에 대한 관세 인하 기대를 높였다.
바이든 행정부가 태국,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베트남에서 수입하는 태양광 패널에 대한 관세를 2년간 면제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관련주들이 급등한 점도 투자 심리 개선에 일조했다. 태양광 관련주인 선런, 인페이즈 에너지의 주가가 5% 이상 올랐다. 솔라에지와 선파워 주가도 2% 이상 올랐다.
트위터의 주가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트위터가 가짜계정에 대한 정보를 제대로 제공하지 않는다면 트위터 인수를 철회할 수 있다고 밝히면서 1% 이상 하락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가 완화되려면 물가 상승세가 둔화하고 있다는 뚜렷한 신호가 나타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주가 반등에도 여전히 투자 심리는 부진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BD스위스홀딩의 마샬 기틀러 투자 리서치 담당 팀장은 마켓워치에 "연준은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추는 것을 고려하기 전에 인플레이션이 둔화하고 있다는 분명한 증거가 필요하다"며 이 때문에 투자자들이 소비자 물가 지표에 집중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바트레이드의 나임 아슬람 수석 시장 애널리스트는 월스트리트저널에 "고객들과 나누는 대화에서 자신감이 보이지 않는다"며 "이날 오름세는 '데드캣 바운스'(하락 추세에서의 일시적 반등)이다"고 말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9월 회의에서 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62.9%, 0.25%포인트 인상 가능성은 27.5%에 달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28포인트(1.13%) 오른 25.07을 기록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