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국제 유가-천연가스, 중국 내년 3조 위안 내수진작에 동반 강세 WTI 70달러 돌파

천연가스, 100만 BTU당 전날보다 0.153달러(4.57%) 급등한 3.499달러
WTI는 전장 대비 0.86달러(1.24%) 상승한 배럴당 70.10달러에 마쳐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4-12-25 06:46:03

▲미국 뉴욕에서 24일(현지시간) 중국 정부의 강력한 재정지출을 통한 내수진작이 기대된다는 보도에 국제 유가와 천연가스가 동반 강세를 보였다. 사진은 미국 원유 저장 시설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에서 24일(현지시간) 중국 정부가 내년에 엄청난 규모의 재정지출을 통한 강력한 내수진작을 할 것이라는 기대감에 국제 유가와 천연가스 가격이 동반 상승세를 나타냈다. 

 

먼저 뉴욕 유가는 성탄절 휴장을 앞두고 거래가 줄어든 가운데 중국의 내년 부양책에 대한 기대로 1% 넘게 상승했다. 24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2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장 대비 0.86달러(1.24%) 상승한 배럴당 70.1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WTI가 종가 기준으로 70달러를 웃돈 것은 지난 18일 이후 처음이다.


아울러 북해산 원유인 브렌트유는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2월 인도분 가격이 전장 대비 0.95달러(1.31%) 오른 배럴당 73.58달러에 마감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WTI는 이날 한때 1.7% 남짓 급등하기도 했으나 장 후반으로 가면서 달러 강세 여파에 오름폭이 축소됐다. 원유는 달러화로 표시되기 때문에 달러 가치가 상승하면 다른 통화를 사용하는 구매자들 사이에서 원유에 대한 수요가 약화할 수 있다.

이날 앞서 중국 정부가 내년에 사상 최대인 3조위안 규모의 특별국채를 발행할 것이라는 소식이 익명의 관계자를 인용한 외신 보도를 통해 전해졌다. 이는 지난해 국내총생산(GDP)의 2.4%에 달하는 수준으로, 올해 발행액 1조위안에서 크게 증액된 것이다.

특별국채를 통해 조달한 자금은 보조금 프로그램을 통한 소비 진작, 기업의 장비 업그레이드, 혁신을 주도하는 첨단분야에 대한 투자 지원 등에 사용될 것으로 전해졌다.

OCBC은행의 토미 시에 이코노미스트는 내년 특별국채 발행 규모는 "시장 기대를 넘어섰다"면서 "중앙정부는 추가 차입에 있어 의미있는 역량을 갖춘 유일한 기관이기 때문에 중앙정부 차원에서 채권을 발행하는 것은 긍정적인 전개로 인식돼 성장에 대한 점진적 지원을 제공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중국 재정부는 이날 란포안 재정부장(장관) 주재로 이틀간 열린 전국재정공작회의를 마친 뒤 낸 성명에서 내년 재정지출을 늘리고 국채 발행도 확대해 경제안정을 뒷받침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란 부장은 "재정적자 비율을 높이고, 지출을 늘리며, 지출 진행을 가속화할 것"이라면서 "내수 확대를 위해 소비를 적극 진작하고 다각적인 채널을 통해 개인소득을 늘려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런가 하면 천연가스 가격은 하루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한국시간 25일 오전 6시 30분 현재 내년 2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이 100만 BTU당 전날보다 0.153달러(4.57%) 급등한 3.499달러를 나타내고 있다. 앞서 24일 오전 5시 25분에는 내년 2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이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58달러(1.70%) 하락한 3.354달러를 가리키고 있었다. 

 

이에 앞서 21일 오전 5시 11분 현재 내년 1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은 100만 BTU당 전날보다 0.132달러(3.68%) 상승한 3.716달러를 마크하고 있었다. 지난 20일 오전 5시 40분에는 내년 1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이 100만 BTU당 전날보다 0.259달러(7.68%) 급등한 3.633달러를 나타내고 있었다. 

 

앞서 19일 오전 5시 25분 현재 내년 1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은 100만 BTU당 전날보다 0.113달러(3.42%) 상승한 3.421달러를 가리키고 있었다. 이에 앞서 18일 오전 5시 40분에는 1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이 100만 BTU당 전날보다 0.148달러(4.60%) 상승한 3.362달러를 기록하고 있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