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증시, 4일 연속 상승에 실패...국채금리 오르고 바이든-파월 만남이 부담
다우존수-나스닥-S&P 일제히 소폭 내림세
하락세 속 아마존닷컴이 4.4%나 올라 관심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2.87%까지 올라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2-06-01 06:15:32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메모리얼 데이로 하루 휴장하고 지난달 말에 개장한 미국 증시가 4일 연속 상승 기록을 달성하는 데 실패했다.
이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이 만나 인플레이션 억제 의지를 다진 때문으로 풀이됐다.
5월 3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22.84포인트(0.67%) 하락한 32,990.12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6.09포인트(0.63%) 떨어진 4,132.15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49.74포인트(0.41%) 밀린 12,081.39로 장을 마감했다. 또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16.67포인트(0.53%) 하락한 3,098.69에 장을 마쳤다.
주요 종목 가격을 살펴보면 테슬라가 0.1% 하락한 것을 비롯해 애플 0.5%, 엔비디아 0.7%, 마이크로소프트 0.5%, 메타가 0.7% 하락하며 마감했다. 이에 비해 아마존닷컴이 4.4%나 올라
관심을 끌었으며 구글의 알파벳이 1.1%, 넷플릭스가 1.1% 오르며 장을 마쳤다.
6월 1일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전날 뉴욕증시는 미국의 현충일인 '메모리얼 데이' 연휴로 휴장했으며 5월 마지막 거래일에도 결국 약세로 마감했다.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전주의 강세로 이달 강보합 마감했으며, 나스닥지수는 한 달간 2% 하락하는 데 그쳤다.
이날 투자자들은 바이든 대통령과 파월 의장의 회동, 인플레이션 우려와 유가 상승세 등을 주시했다. 대통령과 파월 의장은 이날 백악관에서 회동해 연준의 인플레이션 억제 역할과 미국 및 세계 경제 전망에 대해 논의했다.
브라이언 디스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양측의 회동은 "매우 건설적"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은 파월 의장에게 바이든 대통령이 일관되게 강조해온 것, 즉 대통령이 연준의 독립성을 존중하고, 연준에게 인플레이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여지와 독립성을 제공할 것이라는 점을 이번 회의에서 강조했다"라고 전했다.
둘의 만남은 미국이 40년 만에 최악의 인플레이션에 직면한 가운데, 바이든 대통령의 지지율이 크게 부진한 가운데 이뤄져 주목을 받았다.
바이든 대통령은 전날 월스트리트저널 기고문을 통해 "경제가 빠른 회복에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성장으로 전환하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일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근 연준이 주목하는 물가 지표인 4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4.9% 상승을 기록해 2개월째 하락세를 보였다. 하지만 유가가 하락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우크라이나 전쟁이 지속되는 등 공급망 이슈가 계속 남아 있어 연준의 공격적인 긴축 기조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10년물 국채금리는 인플레이션 우려를 반영해 다시 오르기 시작했다. 이날 10년물 금리는 2.87%까지 올랐다. 최근 미국의 경기침체 우려에 2.70% 수준까지 하락한 데서 반등한 것이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가 전날 향후 여러 차례 회의에서 0.5%포인트의 추가 금리 인상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긴축 우려가 강화됐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